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미국 금리인하가 확정시 되었는데 미국채권금리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미국 금리인하가 확정시 되었는데 미국채권금리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에반해 나스닥 지수라던지 다른 주가는 엄청나게 올랐던데 채권가격만 오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앞서 반영되어 이미 시장에 선반영된 경우입니다.

    또한 재정지출 확대 우려로 장기 금리가 하락을 제한 받습니다.

    채권시장은 미래 물가와 부채 리스크를 더 민감히 반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가 확정되어도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 국채 발행 증가 등으로 채권 수요가 약해져 채권금리는 단기간에 하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금리인하 기대감에 성장주와 기술주 중심으로 자금이 이동해 나스닥 등 주가가 급등하는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인하가 확정적이어도 미국채 금리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경기 회복 기대,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연준 정책 불확실성, 그리고 채권 수요 변동 등이 복합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시장은 금리 인하 효과를 선반영하면서도 여전히 리스크를 경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금리 인하가 확정시 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미 선반영 되어서 충분히 미국 채권 금리가 하락하였거나

    확정시라고 하지만 확정되어서 내려간 것이 아니기에

    실제 내리지 않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기준금리는 현재 4.25% 이고 미국채 2년물 금리가 3.50% 수준에서 거래중입니다

    미국채 금리는 이미 올해 2회 인하를 넘어서서 내년초 1회 인하까지 총 3회 인하를 반영해서 거래중입니다

    그러니 이번주 기준금리 인하와 12월 인하는 안하면 금리 폭등 재료입니다 모두가 아는 재료라는 말이죠!!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확정되었음에도 채권 금리가 떨어지지 않는 주된 이유는 강력한 미국 경제의 성장세와 견조한 고용 시장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 특히 장기 국채 금리는 연준의 단기 기준금리보다 미국의 엄청난 재정 적자로 인한 국채 발행 물량 부담과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더 민감하게 반영합니다. 주식이 급등하는 것은 AI 등 일부 혁신 기술주들의 압도적인 실적 개선 기대감을 반영한 반면, 채권 시장은 안전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실질 금리 하락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장이 연준의 인하 사이클이 얕고 짧게 끝날 것으로 예상하거나, 중립 금리 자체가 상승했을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채권에 대한 금리의 경우 사회가 혼란될떄 더 많은 자금이 채권에 몰리므로, 그만큼의 이자율이 낮아집니다. 다만 사회가 안정될떄나, 자금이 시장에 많이 유입된다면 채권에 대한 수요가 떨어지기에, 그만큼의 이자율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잇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시는 것이 좋은데, 현재에는 금리인하가 된다고 하니, 그만큼 채권보다는 시장의 주식에 투자가 많이 될 것이므로 채권금리는 상승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장기화에 따른 피로가 누적되면서 셧다운이 경기에 미칠 우려도 좀 더 짙어진 가운데 QT 종료 기대감이 강해졌는데요. 다만 국채 수익률의 전반적 레벨이 낮아지면서 추가 하락에는 제동이 걸리면서 미국채의 금리가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