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조그만갈매기201
조그만갈매기20123.04.01
조선시대부터 유교사상이 대세가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종교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으로 인해

인과 의를 중시하였는데 그로인해

폐쇄적이고 근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생각되는데

조선에서 왜 유교사상이 퍼지게 된건가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고려시대부터 이미 과거시험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퍼져있었고 조선시대는 정치적으로 결합하며 왕들의 왕권강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대세가 되었다는 답변을 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 와서 유교를 조선의 이념으로 삼자 여자는 완전 천한 사람이 되어버리고 말았습니다..

    맨 얼굴로 그냥 길거리에 나가서도 안되고 평생을 나갈 일이 몇 번 있을 까 말까하는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또 결혼한 여성들은 칠거지악이란 것이 있어 남자가 바람을 피거나 등등을 해도 가만히 있는 것이 도리였습니다,...

    이것이 유교로 인해 여성들이 차별받은 예였습니다..

    또 제사도 있습니다.

    유교는 제사를 무지하게 중요시 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아버지나 등 친족이 죽으면 그에 따라서 3년상 2년상 등등을 했습니다

    이것이 지켜지지 않으면 나라에 혼나구요..!!

    또 나라 관직에 있는 사람들도 충보다 효를 중요시 여겨 관직에 있다가 상을 당하면 무조건 자리를 내놓고 3년상을 해야 했죠..

    만약 이것을 어길시 매우 혼나죠..!!

    유교로 인해 얻은 여성들의 불이익도 너무 많고 차별도 많았죠..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 융성했던 주자학은 고려말 유학자 안향(安珦)에 의해 1289년 고려 충렬왕

    15년에 최초로 전래된후 연구, 보급되었다.

    이후 주자학은 신진사대부들이 고려말

    권문세족들에 의한 혼란을 개혁하는 과정중에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 급진 개혁파에 의해

    개국된 조선 초기에 유교(주자학)는

    사회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고,

    비록 억불숭유는 하였지만 포용력 또한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사상계를 지배하게

    되면서 배타적으로 변질되어 갔다.


  • 조선의 개국과 더불어 국시로 채택한 숭유억불정책을 시도하게 된 배경은

    사찰이 가지고 있는 힘을 약화시키려는 시도이며,

    조상숭배(효)를 통해 민(民)의 통치 수단으로 채택하였다고 봅니다.

    효는 인과 의를 바탕으로 나오는 자연스러운 도덕이라는 개념입니다.

    어버이를 공경함이 왕을 공경함이라는 논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부터 우리나라의 전통 신앙으로 자리 잡은 불교는 고려말 부터 종파간의 대립과 갈등이 더욱 심해지고 사회경제적으로도 많은 폐해를 일으키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라한 폐해를 조선 초 유학자들은 비판 하고 새로운 사상인 유학을 발전 시켜 나가지요. 유학은 조선 건국의 기본이 되면서 기존의 불교를 대체 해서 자리 잡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라는 것이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을 말하는 것으로

    인과 덕에 의해서 천명을 따르는 이상적인 인간의 힘으로 실현할수 있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조금은 민간이 주도하는 제사나 여러가지것들에만 국한 되다 보니 넓게

    많은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왕이나 황제가 나라를 통치하기에 유리한 측면이 강했습니다. 충과 효를 강조하고 신분질서와 위계질서가 잘 유지되지요. 그래서 중국 왕조 대부분이 유교를 중시하고 통치이념으로 썼습니다. 한, 당, 송, 명의 한족 왕조가 대표적이지요.

    우리나라도 유교를 수용했습니다. 유교가 통치이념으로 정식 시작한 것은 고려 성종 대입니다. 이따부터 유교가 통치이녕이 되었지만 고려는 불교국가이기도 했습니다.생활문화는 불교, 정치이념은 유교로 이원화한 것이지요.

    조선은 고려말 성리학을 수용한 유학자 즉 신진사대부들이 이성계 즉 신흥무인과 손을 잡고 건국하였습니다. 건국의 정당성 확보에 불교를 지목했고 그 폐단을 강조했지요. 따라서 조선은 정치와 생활문화 모두 성리학으로 삼았습니다.

    흥선대원군 대 통상수교거부정책이 근대화에 역행한 측면이 있지만 이 제국주의 시대에 근대화에 성공한 유일한 비서양국가는 일본 뿐입니다. 그 수많은 나라들이 서구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힘이 곧 진리인 시대였습니다. 개항을 스스로 했더라도 근대국가를 만드는 것은 또다른 차원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일본은 개항과 이에 따른 불만이 겹쳐 하급무사들이 쿠데타를 일으켰고 그것이 성공했습니다. 메이지유신이지요. 메이지유신으로 일본은 막부체제가 붕괴되고 근대천황제 국가가 되고 적극적으로 서구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에 성공했습니다. 그 뒤의 길은 서구제국주의 국가들처럼 걷게 되었고 식민지 확보와 팽창, 전쟁의 길로 빠진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유교사상이 대세였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조선시대는 유교국가였기 때문에 유교사상이 국민들의 생각과 행동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유교교육이 국가에서 기본적인 교육으로 강조되었고, 성리학, 옹주학, 서경학 등의 유교학문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는 불교와 천주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들이 존재했지만, 이들 종교와는 달리 유교는 조선시대의 권력자들이 주도적으로 선호하면서 국가적으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조선시대에 유교 사상과 국가 권력이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국가의 정책과 사회 제도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의 사회 제도와 유교사상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사회 제도는 성리사상에 기반하고 있었으며, 성리사상은 유교사상 중 하나입니다. 또한, 존경과 순종, 인간관계와 같은 유교사상은 조선시대의 사회 제도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이 대세가 되면서, 사회적,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