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진리의 샘
진리의 샘

반등하다 박스권 갇힌 코스피! 거래 실종의 이유는?

코스피는 미국 증시나 해외 증시에 비해 상당히 저 평가 되어 있는데요. 반등을 하다 또 다시 박스권에 갇히는 일을 반복하는 코스피! 거래 마저 실종하고 있는데,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한국 주식시장은 코스피, 코스닥 할것 없이 박스권에 머무르며 주도주 실종되었습니다

    이에 거래가 실종되고, 테마주 단타만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반등하가 박스권 갇힌 코스피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한국 증시에는 투심이 많이 사라진 것으로 보이기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고 박스권에 갖힌 모습이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매력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나,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수혜 업종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외 주식시장 대비 주가 상승세가 약해 매력도가 떨어져 거래대금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 인하 예상이 확실해져가고 있고, 미대선을 앞두고 있다보니 투자금 보유한채로 추가투자를 보류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지수가 박스권에 갇히고 거래량이 줄어드는 현상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우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와 기준금리 인상 등의 대외 불확실성이 증시의 상승 동력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코스피 지수는 3000포인트대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뚜렷한 방향성을 잃고 있습니다.

    투자 심리 위축도 주요 원인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의 순매도세 전환과 20개월간 지속된 유동성 파티의 종료로 시장 참여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졌습니다. 또한 실물경제와 자산시장 간의 괴리에 대한 우려로 버블 논란이 제기되면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태도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코스피의 저평가 상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수의 상승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거래량 감소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관망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투자자들이 뚜렷한 매수 혹은 매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향후 대내외 경제 상황과 기업 실적 전망이 개선되면 거래 활성화와 함께 지수 상승 모멘텀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반등 후 다시 박스권에 갇히고 거래가 저조한 이유는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특히 미국의 금리 정책과 중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 관망세를 유지하며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주식 시장 자체가 현재 좋지 못하며

    더불어서 현재 증시의 불안정성이 커지는 등 그리고

    해외로의 자금이탈 등이 일어남에 따라서 박스권에 갖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고 금투세 시행을 하니마니 하는 영향으로 투자를 꺼리므로 이런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코스피 상승장을 이끌던 반도체, 금융 등 시장 주도 업종마저도 하루는 오르고, 하루는 내리는 장세가 이어지면서 투자자들로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서 투자 경계심리가 확산하면서 상단이 제한됐고, 또한 순환매 장세가 반복되면서 시장의 난이도가 높아진 것도 코스피가 박스권에 갇히게 된 요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