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비관적인 생각을 할 때 부모로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아이가 이런저런 스트레스로 비관적인 생각을 할 때 부모로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아이가 이런 생각을 할 때 부모의 대처가 굉장히 중요한 거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단은 아이의 감정을 모두 다 수용해 주려고 노력하셔야 합니다. 어떤 고민이 있고 무슨 일이 있는지 다 들어보신 다음에 그러한 아이를 공감해주시는 게 최우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이런 저런 이유로 비관적인 생각을 하게 되면 부모님은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학교 담임 선생님과도 상담을 통해서 학교의 문제인지, 교우관계인지 파악을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스트레스받고비관적으로생각하는건

    그만큼 환경에서지지를못받아서입니다

    평소에아이에게칭찬 격려등을해주면

    스트레스로비관적인생각은안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생각이 비관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긍정적인 경험이나

    책들을 제공하시는 것이 필요하며 주변사람들 중 긍정적인 사고를 자주 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에게 적절한 스트레스를 풀수있는 방안알 알려주고 활동해주시는것이 좋을수있겠습니다

    또한 아이에게 즐거운 기억이 많이 생기도록 다양한 활동을 하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태어나면서부터 비관적인 아이는 없습니다. 부모는 자녀에게 거울과 같은 존재로 아이의 현재의 모습이 부모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닌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어요. 아이와 함께 티비를 보면서 무심코 던진 말이나 함께 자동차 운전을 하다가 생각없이 보인 반응들이 아이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훈습이 될 수 있거든요. 비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아이에게는 긍정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긍정적인 대상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변화를 위해 부모의 변화는 긍정적인 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아이가 무엇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지 스트레스의 원인을 먼저 파악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했다면 그 스트레스 원인을 해소시켜 주시는 것이 먼저 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입니다.

    더나아가 넌 충분히 잘할 수 있어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해 주시면서 아이가 보다 나은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비관적인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야 상황이 나아짐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가 비관적인 생각을 하는 원인이 있을 겁니다

    어떤 이유 때문에 그러한 생각을 하는지 충분히 대화를 나눠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