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중에서 임신과 출산을 하지 않고 복제가 되는 생물도 있나요?
기본적으로 우리가 아는 생물들은 임신이나 출산 등으로 해서
하는것이 일반적으로 생각을 할수 있는데요
그렇지 않고
복제로 해서 생겨나는 생물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무성생식을하는 종들을 예시로 들수있습니다.
세균이나 아메바등은 이분법을통해 자기자신을 복제하는 방법으로 개체수를 늘려나갑니다.
해파리나 플라나리아, 히드라등은 출아법처럼 자신의몸에서 작은개체가자라나게한 뒤 분리시키는 방법이나 몸이 절단되면 두개의 개체로 변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임신이나 출산없이 자가복제로 번식을하는 생물도 존재합니다.
이른바 무성생식이라고 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세균이나 아메바, 효모와같은 단세포생물들이 있는데
이분법이라고하는 방식을 통해 일정시간마다 하나의세포가
두개로나뉘어 개체수를 늘려가납니다.
일부 다세포생물도 무성생식을하는데,
히드라나, 해파리, 플라나리아와같은 동물들은
출아법이나 조직재생을통해서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냅니다.
일부 곤충이나 어류, 파충류도 단위생식을하는데,
암컷이 수컷없이 알을낳아 새로운 개체를 만들수있다고합니다.
꿀벌이 일벌을 낳는방식이나, 일부 도마뱀들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네, 물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일반적으로 새로운 생명체는 부모의 생식세포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유성생식을 통해 탄생합니다. 하지만 자연계에는 유성생식 외에도 무성생식이라는 방식으로 번식하는 생물들도 존재합니다. 무성생식은 한 개체가 혼자서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말씀하신 복제도 그 중 하나입니다.
보통 세균이나 효모처럼 단순한 구조를 가진 생물들은 세포 분열을 통해 스스로를 복제하여 개체 수를 늘립니다.
그리고 많은 식물이 꺾꽂이, 접붙이기 등의 방법으로 무성생식을 하여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복제는 자연 상태에서 상당히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물론 인위적인 복제도 있지만, 자연적인 복제를 통해 만들어지는 생물도 상당히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인간처럼 유성생식을 하는 생명체도 많이 존재하지만 반면에 임신과 출산 없이 복제로 번식하는 생물들이 있습니다. 이런 생물들은 무성 생식을 통해 자신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만들어내며, 이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의 성적 생식(임신과 출산)과는 매우 다른 방식입니다. 무성 생식은 주로 단세포 생물과 일부 다세포 생물에서 관찰되며, 그 과정에서 유전적 다양성 없이 부모와 동일한 개체가 복제되듯이 탄생합니다. 무성 생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방식은 "이분법"입니다. 세균, 원생동물, 단세포 생물들이 사용하는 생식 방식인데요, 이분법은 세포가 두 개로 나뉘는 과정으로, 부모 세포가 성장한 후 그 유전 물질을 복제하고 두 개의 딸 세포로 분리됩니다. 대장균 같은 세균은 이분법을 통해 빠르게 번식하는데요, 하나의 세균이 두 개로 나뉘고, 각각의 세균은 동일한 유전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다음으로 출아법은 부모 생물체에서 작은 돌기가 나와 자라다가 떨어져 나가 새로운 개체가 되는 방식입니다. 새로운 개체는 부모와 유전적으로 동일하며, 부모로부터 작은 덩어리가 떨어져 나가 성장하게 됩니다.
네, 임신이나 출산 없이 스스로 복제하는 생물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무성생식을 하는 생물들이 있는데, 히드라나 해면동물 같은 몇몇 무척추동물, 아메바 같은 단세포 생물들은 세포분열을 통해 자신과 똑같은 개체를 복제해 번식합니다. 또한, 일부 도마뱀이나 물고기, 곤충 종에서도 단위생식을 통해 암컷이 수컷 없이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세균들은 일반적으로 임신과정을 거치는 것이 아닌, 복제와 분열로 번식을 하게 되지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