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이 태어난 이후 자주 짜증을 내며 부모와 대화를 피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5살 여자아이입니다. 얼마전 동생이 태어나면서부터 아이가 자주 짜증을 내고 부모와 대화를 피합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첫째 아이들은 동생이 태어나게 되면 심리적.정신적으로 많은 힘듦을 겪게 되고, 불안함을 가지게 되고, 행동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동생이 태어나면서 부터 짜증이 늘었다 라는 것은
이것은 자신의 불만의 표출하는 것입니다. "왜 나한테 관심과 사랑을 주지 않나요" 라는 자신의 감정 표현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꾸 짜증을 내고 부모와 대화를 피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짜증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은 옳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은 단호하게 지도를 해주실 필요가 있어요,
첫째 아이를 방 한 쪽으로 데리고 들어가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엄마.아빠 한테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면서 하고 싶은 말이 있거나, 기분이 좋지 않다면 짜증을 내지 않고 언어로 부드럽게 조곤조곤 엄마,아빠에게 이야기를 해야 하는 거야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엄마.아빠 한테 짜증을 내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도록 하세요.
더나아가 첫째 아이 어릴적 사진을 보여주면서 너가 어릴 때도 엄마.아빠의 도움을 받고 자라왔듯이 동생 역시도 아직은 어리고 혼자서 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엄마.아빠가 도와주어야 해 라고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알려주도록 하세요,
또., 동생 못지 않게 첫째 아이에게 관심을 주고 사랑을 주고 애정을 쏟고 있다 라는 것을 언어와 행동으로 꾸준히 표현해 주도록 하세요. 첫째 아이가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말이지요.
안녕하세요.
5세 아이의 입장에서는 동생으로 인해 부모님이 본인에게 소홀해진다고 보는 등의 서운함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단호하게 타이르는 것보다는 여전히 사랑한다는 것을 자주 말로 표현하면서 아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자주 가지는 것이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동생이 태어나면서 아이가 동생에 대해서 애정이 빼앗겼을거라는 질투를 느껴서 그럴수있습니다
첫째와 조금더 시간을 가지고 애정을표현해주면서 둘쨰는 케어가 필요하다고 알려주시고 같이 육아보조로 참여하게 하는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개별적인 관심과 애정을 표현합니다. 동생이 태어나서 아이가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특별한 시간을 마련해줍니다. 오늘은 엄마랑 단둘이 놀이 시간 가져볼까 와 같이 아이와 질적으로 좋은 시간을 보내도록 합니다. 아이가 동생을 잘 보았을 때 칭찬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느낀느 질투감, 외로움, 불안감을 이해하고 공감해줍니다. 동생이 태어나서 네가 혼자 잇을 때 외로웠니?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이의 감정을 듣고 인정해줍니다. 아이가 대화에서 피하려고 할 때 일단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들으려고 노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동생이 태어난 이후 자주 짜증을 내며 부모와 대화를 피한다면 왜 그런지 그 행동의 원인을 파악해보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5살 아이가 동생의 태어난 이후 짜증을 내고 부모와 대화를 피하는 행동은 형제 자매가 태어난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감정 변화입니다. 아이는 새로운 동생이 생긴 것에 대해 질투나 불안을 느낄 수 있고, 자신이 이전처럼 부모의 관심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아이가 건강하게 감정을 표현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동생이 태어난 후 느끼는 감정은 질투, 불안, 외로움 등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이해해 주며, 긍정적인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부모의 관심을 다시 느낄 수 있도록 1:1 시간을 만들어주고, 동생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아이의 감정적 안정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동생이 태어난 이후 자주 짜증을 내는 아이에게는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대처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첫째에게 애정을 더주세요
둘째태어나고 자신이받는애정이 줄어드니그러니
애정을다시많이주시면되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동생이 태어난 이후 자주 짜증을 내고 부모와 대화를 피하는 아이는 감정적으로 혼란스러워하고
자신의 역할이나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그 감정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가볍게 넘기면 아이는 더욱 반감을 느낄 수 있슷ㅂ니다
"너가 짜증나는 거 알아 동생이 태어나서 불편하고 혼자라는 기분이 들겠지?"라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독립적인 역할을 강조해주세요
아이에게 동생을 돌보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을 부여하여 자존감을 높여주고 자기가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마 지금은 동생의 출생 후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부모와 대화를 피하는 것은 감정적인 변화와 적응의 일환입니다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그들에게 특별한 역할과 시간을 제공하며 긍정적인 칭찬과 규칙을 통해서
안정감을 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시간을 내어 개별적인 관심을 주고 "네가 특별히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세요. 형제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어주는 놀이 활동을 병행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