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예적금이 인플레이션 헷지가 가능할까요?

월급의 일정 비중은 예금이나 적금에 넣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워낙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는데 예적금이 인플레이션 헷지가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적금은 원금 손실 위험이 없어서 안정적인 자산은 맞지만, 사실 돈의 실질 가치를 인플레이션으로부터 보호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헷지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예적금이 인플레이션 헷지가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예적금의 이자율은 그렇게 높지 못해서

    실질적으로 인플레이션 햇지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최고 높은 이자율을 주는 예적금을 계속 발굴하고 찾아서

    그것만 가입한다면 가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과 적금은 안전한 자산에 속하긴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높을 경우에는 실질적 구매력 보호에는

    사실 한계가 존재합니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고 싶으시다면 예적금 외에도 인플레이션 헷지 자산에 일부는 투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금이나 부동산이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헷지 자산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적금으로 물가를 막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은 요즘 다들 합니다. 기본적으로 예적금 금리는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기 힘든 구조라고 합니다. 은행이 주는 이자가 연 3퍼센트 정도인데 물가는 4퍼센트 넘게 오르면 사실상 손실이 되는 셈이죠. 물론 안정성 면에서는 예적금이 최고라서 원금 보존이 필요할 땐 괜찮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는 주식이나 부동산, 금 같은 실물자산 쪽이 더 적합하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예적금만으로는 오히려 체감상 돈의 가치가 줄어든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 적금은 원금보장이 강점이지만 물가상승률보다 금리가 낮으면 실질 가치는 줄어듭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적금은 인플레이션 헷지가 제한적입니다.

    현재(2025년)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율(약 3-4%)이 예적금 이자율(2-3%대)을 상회하는 경우

    실질 수익률이 마이너스여서 구매력이 줄 수 있습니다.

    헷지 목적이라면 주식, 부동산, 또는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TIPS 등)을 고려하세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예적금으로 어떤 전문가도 헷지가 된다고 말하지 않으며 현재의 예적금 수익률로는 물가상승률을 따라가기도 힘들며 또한 생활물가지수는 일반 물가보다 배이상 높으며 부동산과 같은 자산은 물가지수에도 포함도 안되는게 함정입니다.

    거기다가 이자수익은 15.4%의 세금이 붙기 때문에 실질수익률은 더 낮다는 함정이있고 거기다가 근본적으로 장기간 고정되어있다는 함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적금 자체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헷지의 답으로 적절치 못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일단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보통 물가의 최소 3-5프로 이상오른다고 생각하며, 예적금의 경우 2프로 정도이니 이러니한 예적금을 넣는것 자체도 손실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더 큰 수익이 날수 있는곳에 투자를 하여 수익을 볼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막는것이 가장 안전하고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