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인플레이션 중에도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이 있던데
어휘만 봐도 수요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비용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인 것 같습니다
결국 수요 인플레나 비용 인플레는
인플레이션이기에 물가상승은 당연시 될 것인데
수요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와
비용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는
해결하기 위한 경제적 대응책이 달라지는 건가요?
이래나저래나 인플레이션이기에
둘다 동일한 수단과 방법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는건가요?
두가지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제적 대응책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수요인플레이션은 물건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니까 물건 값이 올라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공급을 늘려주는게 대책입니다. 물론 공급을 마음대로 늘릴 수 있는 재화냐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리고 정부가 지원금 같은걸 줄여서 돈이 소비자로에게 덜가게 해서 수요를 줄이는 방안도 있습니다.
비용 인플레이션은 생산비용이 올라가니까 물건 값이 오르는 것인데, 이때는 생산비용에 들어가는 것 중 비용을 조정할 수 있는게 있으면 조정해줄 수 있습니다. 국가가 조정할 수 있는 전기 같은 공공요금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 여기에도 정부 재정지출을 줄여 수요를 줄이게 만드는 게 들어 갈 수 있수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은 돈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게 가장 크기 때문에 결국은 지금처럼 금리를 올리는게 대표적인 방안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이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과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은 수요와 관련된 요인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기가 호황이고 소비자들의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판매량이 증가하거나 생산이 따라잡지 못하는 경우에는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가격 지수(CPI)와 같은 지표를 통해 측정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비용이 인플레이션은 생산 비용과 관련된 요인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비용이 인플레이션은 원자재 가격 상승, 노동 비용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생산 과정에서 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업들이 가격을 인상하여 물가가 상승합니다. 비용이 인플레이션은 생산자 가격 지수(PPI)와 같은 지표를 통해 측정될 수 있습니다.
두 인플레이션 유형의 차이점은 주로 발생 원인과 영향력에 있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며, 소비자들에게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격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비용이 인플레이션은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고 이를 소비자들에게 전가함으로써 물가가 상승하며, 기업들이 생산과정에서 비용 부담을 겪을 수 있습니다.
정책 결정이나 경제 분석에 있어서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이 인플레이션은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며, 이를 고려하여 인플레이션 대응 방안이나 경제 정책이 수립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을 해결하는 대책은 잠재적인 성장률을 높이는 등 기술혁신을 추진하는 것입니다. 비용상승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과 더불어 경기 침체가 함께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발생시킵니다. 이런 상황에서 침체된 경기에 대응하고자 통화량을 늘리거나 재정지출을 증가시키면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화됩니니다. 반면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줄이면 경기는 더욱 침체돼 정부나 금융당국이 정책 대응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보통 과거에 폴볼커는 엄청난 금리인상으로 이를 해결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요견인인플레이션은 금리를 올려서 수요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칩니다.
반면에 공급견인인플레이션은 원자재 가격이나 노동비용 상승 등으로 견인된 인플레이션으로
정부 개입으로 인위적으로 가격을 낮춰야 합니다.
수요견인은 경기를 상승시키는 데에 장점이 있지만 공급견인 인플레이션은 경기침체 중에 물가가 상승하여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것은 경기과열에 따라서 공급보다 수요가 크게 증가하게 되면서 수요의 증가로 인해서 물가의 상승을 견인한다고 해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하고, 비용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것은 인건비의 상승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서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물가의 상승이 발생한다고 해서 비용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해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요인플레는 경기의 호황상태가 과열단계에 이르면, 국민경제적으로 보아 총수요가 총공급을 웃돌기 때문에 생기는 물가상승을 말한다. 비용인플레는 재화나 서비스에 투입된 생산요소의 비용 증가에 의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