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진심자애로운참나무
진심자애로운참나무

도파민 D2 수용체에서 나트륨 이동억제?

도파민 D2 수용체에서 흥분 억제한다는데 나트륨 이동 억제하고 칼륨 통로 활성화하는 기능을 하는거 맞나요? 그리고 D1은 나트륨 이동 활성화하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도파민 수용체는 두 가지 주요 유형, 즉 D1-류와 D2-류 수용체로 분류됩니다. 이 두 유형의 수용체는 신경전달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그 작용 메커니즘 또한 상이합니다.
    D2 수용체는 주로 억제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수용체가 활성화될 때, G_i/o 유형의 G-단백질이 연동되어 아데닐산화효소(adenylyl cycl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내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의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이로 인해 나트륨(Na⁺) 채널의 활성화가 억제되어 세포의 흥분성이 감소합니다. 또한, 칼륨(K⁺) 채널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세포 내로의 칼륨 이동을 증가시키고, 이는 세포를 더욱 음전하로 만들어 흥분을 억제하는 효과를 냅니다.
    반면, D1 수용체는 흥분성 기능을 가지며, 이 수용체의 활성화는 G_s 유형의 G-단백질을 통해 아데닐산화효소를 활성화시킵니다. 이는 cAMP 농도의 증가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PKA(protein kinase A)의 활성화를 촉진합니다. PKA의 활성화는 나트륨 채널의 개방을 증가시켜 세포의 흥분성을 증가시킵니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D2 수용체와 D1 수용체는 도파민의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데 있어 상반된 경로를 활용하며, 이는 신경계 내에서 도파민의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가능하게 합니다.

  • 네, 맞습니다. 도파민 D2 수용체는 일반적으로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이는 나트륨 이온의 이동을 억제하고 칼륨 이온 통로를 활성화시키는 기전과 관련이 깊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도파민 D2 수용체는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나트륨 이온 이동 억제와 칼륨 이온 통로 활성화라는 구체적인 이온 채널 조절 기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반면, D1 수용체는 아데닐 사이클레이즈를 활성화시켜 cAMP 생성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증가시킵니다.

  • 도파민 D2 수용체는 주로 억제성으로 작용하며, 나트륨 통로 억제보다는 칼륨 통로를 활성화시켜 세포 내 과분극을 유도합니다. 이는 뉴런의 흥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신경 전달을 감소시킵니다. 반면 도파민 D1 수용체는 주로 흥분성 작용을 하며, 나트륨 통로 활성화를 통한 신경 흥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