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1남 잘못한것이있어도 사과할지몰라요
예를들어 남을 때린다든지해서 삭과를 해야할상황이 오면 피하려고만 하지 도통사과할지를 몰라요
무엇이 잘못된지알려주고 본인도 아는것같은데도 사과안하려고할때 어떻게훈육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과 하기 싫은 아이에게 억지로 사과를 하게 하거나 야단치는 일은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옵니다.
부모님이 먼저 사과하는 행동을 보여주세요
일상생활에서, 같이 못놀아줘서 미안해, 엄마가 늦어서 미안해! 등 사소한 일이라도 부모가 아이의 마음을 속상하게 했을 때 진심으로 사과를 하면, 사과를 받은 아이는 사과가 어떤 것인지 인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다른 사람이 OO이에게 떄리고 잘못을 했는데도
사과를 하지 않으면 OO이의 마음이 어떨까?
이렇게 해서 아이의 대답을 들어주시고 계속해서 행동을 교정해주시길 바랍니다.
사과를 하지 않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과를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너 사과해 라기보다 엄마가 보기에 ㅇㅇ이가 ㅇㅇ를 잘못한 것 같아 ㅇㅇ이도 그렇게 생각하니?? 라는 식으로 유도하는 것도 아이가 잘못을 인정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아이가 사과를 안한다고 한다면
사과를 할때까지 기다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자존심이 지나치게 센경우에는 그러한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미안하다고 까지는 아니더라도 실수나 잘못을 인정하는 정도를 가르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사과를 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에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상황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사과를 안하거나 무언가 행동을 할때 표현이 나오지 않는것은 학습이 되지 않은경우가 많습니다.
쉽게 말하면 머리로는 잘못했다는것을 알고 있으나 실제로 행동을 어떻게 하면 되는지 모르기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이전에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부분인데 아마도 아이의 경우 잘못을 하였거나 했을때 누군가 사과를 하는것을 보고 경험하지 못한듯합니다
그렇기에 이러한것들을 직접적으로 상황을 설명하고 사과하는법을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과를 잘 하지 않는 경우는 실수나 실패를 너무 두려워 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누구든 실수할 수 있고 잘못할 수 있는데, 인정하기가 싫어서 사과를 쉽게 못하는거지요
그리고 아이가 실수했을 때 기 죽이지 말고 그럴 수 있다 라고 쿨 하게 넘기셔야 합니다.
억지 사과 보다는 손을 잡는 등 다르게 사과 하는 방법을 알려줘도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