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특출난왜가리83
특출난왜가리8323.11.08

전기차는 왜 불이나면 끄기 어렵나요?

전기차는 왜 불이나면 일반 자동차보다 끄기 어려운가요?

그리고 배터리는 왜 터지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전기차의 위험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발생하면 전기차의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로 인해 불이 계속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불이 나면 소방관들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물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물로 화재를 진압하면 전기차의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와 반응하여 화재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을 사용하면 전기 충격을 받을 위험성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의 경우, 소방관들은 전기 차량 제조사나 전기 관련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전기 시스템을 안전하게 차단하고 배터리를 격리하는 등 특수한 접근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기차 화재에 대한 안전한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8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내연 기관차는 엔진룸 안에 직접 물을 뿌려서 신속하게 불을 끌 수 있지만,

    전기차는 배터리팩을 냉각하는 간접 진화 방식을 사용해야 해서 한번 불이 나면 끄기가 매우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는 배터리는 보통 리튬이온 배터리로 배터리의 주요 성분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분리하는 분리막이 손상을 입으면 두 극이 만나 과도한 전류가 흐르고 열이 발생해 화재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발생한 화재는 급격한 반응으로 인해 1,000도 이상의 고열을 발생시키고 물을 뿌리더라도 물이 온도를 낮추지 못해 불을 끄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열폭주란 물체에서 발생한 열이 또 다른 열을 일으키며 순식간에 고온으로 폭주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기차 배터리는 셀 수백개가 모여 한 팩을 이루는데 이 가운데 한 셀에서 합선이 일어나 열푹주가 시작되면 다른 셀로 불이 순차적으로 옮겨붙으며 또 다른 열폭주를 일으킵니다.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이 쉽지 않은 이유입니다. 겉에서 불씨가 사라져도 내부의 불씨가 새로운 열폭주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전기자동차에 난 불을 끄기 어려운 이유는 배터리가 금속 케이스로 덮여 있어 일반적인 소화제가 침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