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미국이 우리나라 반도체 장비 제한을 햇다는데, 영향 클까요?

최근 미국이 삼성SK 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반도체 장비 허가를 강화했다던데요, 우리 수출 쪽에는 어떤 파장이 있을지 전혀 감이 안 옵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대응책이 있을까요, 아시는 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미국 상무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해 적용되던 ‘검증된 최종 사용자(Validated End‑User, VEU)’ 지위를 철회하면서, 이제부터는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를 중국으로 반출할 때마다 건별로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 조치로 인해 중국 팹의 장비 유지·보수와 신공정 도입에 큰 불확실성이 초래되고 있습니다

    120일의 유예 기간 이후 본격 시행되며, 장비 수급 지연은 물론 공정 고도화에도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 미국 측 조치는 우리 반도체 산업에 큰 파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수출 리스크입니다. 장비 수급 지연과 공정 전환 제한은 생산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은 단순한 협상뿐 아니라 전략적 제조 기지 재조정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미국산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기에 삼전, 하이닉스 입장에서는 보다 낮은 단게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됩니다. 다만 현재 중국에서 이미 생산하고 있는 반도체가 높은 수준이 아니기에 타업체의 장비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가장 높은 등급의 반도체는 한국이나 미국에서만 제조하기에 문제없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은 우리나라 반도체 업체들의 중국 공장 장비 조달과 생산에 어려움을 주게 되어 수출이나 생산 차질우려를 키우게 됩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29167951071

    이에 따라 반도체 업계는 장비의 국산화 등 대체재 탐색, 신기술 개발 강화등으로 대응하며 리스크 최소화에 힘쓸 필요가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기술 자립을 높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장비 허가를 더 까다롭게 만든 건 결국 중국 내에서 첨단 반도체 생산을 억제하겠다는 의도가 강합니다. 삼성이나 하이닉스가 중국 공장에 장비를 들여와서 유지 보수하는 데 제약이 커질 수 있고 그러면 생산성이나 업그레이드가 늦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단순히 우리 기업만 문제라기보다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전반이 꼬일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수출도 마찬가지로 중국향 장비 납품이 줄어드는 그림이 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매출 타격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업계에서는 우회 공급이나 미국 정부와 협상을 통해 일정 범위는 예외 승인을 받는 방안들을 찾고 있다고 하는데 그게 얼마나 통할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