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적립금과 법정적립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기업의 이익잉여금은 다른 이익잉여금으로 처분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적립금 중에서 임의적립금과 법정적립금의 정의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임의적립금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일정 금액을 유보해 두는 적립금이고, 법정적립금은 상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적립금입니다. 법정적립금에는 법정준비금이 포함되며, 배당 가능 이익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임의적립금은 투자나 미래의 리스크 대비 등 기업의 경영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됩니다. 두 적립금 모두 이익잉여금 처분 시 내부 유보 형태로 계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법정적립금이란 상법이나 기타 법률의 규정에 따라 회사가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적립금을 말합니다. 이는 회사의 재산을 보호하고 채권자를 보호하며, 자본의 충실화를 도모하기 위한 강제 규정입니다. 회사는 이익이 발생하면 법에서 정한 일정 금액을 법정적립급으로 쌓아야 하며, 특정한 목적 외에는 함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임의적립금이란 법류에 의해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회사의 정관 규정이나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회사가 스스로의 판단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적립하는 적립금을 말합니다. 이는 회사의 경영 전략, 재무 상태, 미래 계획 등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가장큰 차이는 법적으로 강제성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로 볼수 있습니다.
즉 법정적립금은 상법규정하에 주식회사는 자본금의 1/2에 달하는 부분까지 매 결산 이익배당의 10%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해야 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매 결산 순이익 전부를 배당재원으로 사용하지 못하는게 바로 법정준비금 강제규정때문입니다.
임의 적립금은 말 그대로 회사가 즉 주주총회에서 의결을 통해서 회사의 자유로운 판단하에서 배당재원이 아닌 회사의 사내유보로 적립하는 금액을 말하며 이를 미래에 대한 투자재원이나 아니면 채무에 상환의 목적등을 표면적으로 내세우며 사내유보하는 적립금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임의적립금과 법정적립금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가장 큰 차이점은 말 그대로 적립의 강제성, 의무에 대한 것입니다.
법정적립금은 관련 법률에 의거해서 무조건 적립을 해야 하는 것이고
임의적립금은 말 그대로 선택에 의해서 적립이 가능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법정적립금은 기업이 이익을 내게 되면 상법 등에 따라 반드시 적립해야 하는 적립금을 말합니다.
임의적립금은 법적 근거없이 기업이 자율적으로 적립하는 적립금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임의 적립금은 기업이 내부적으로 쌓아두는 자금 (확장, 투자, 리스크 대응 등)으로 기업이 정관에 따라 임의로 설정한 적립금을 의미합니다. 법정 적립금은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것으로 자본금의 일정 비율 이상을 쌓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