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

혈액형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혈액형을 ABO식으로 A,B,O,AB으로 나눌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외에 혈액형이 존재하나요? 아니라면 이렇게 4가지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지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ABO 혈액형 시스템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A와 B 항원의 유무에 따라 네 가지 형태(A, B, AB, O)로 분류됩니다. 적혈구 표면에 A 항원을 가지며, B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혈장에서 생성하는 혈액형을 A형, B 항원을 가지며, A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혈장에서 생성하는 혈액형을 B형, AB형의 경우 A와 B 항원을 모두 가지며, A 또는 B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AB 형은 모든 혈액형과의 수혈이 가능한 보편 수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A항원도 B항원도 가지지 않으며, A와 B항원에 대한 항체를 모두 생성하는 O형은 보편 기증자로 간주됩니다.
    그 밖의 혈액형으로는 켈(Kell), 키델(Kidd), 루이스(Lewis), 더피(Duffy)와 같은 여러 추가적인 혈액형 시스템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특정 인구집단에서 발견되는 특이 항원들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수혈 반응 및 질병 감수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혈액형입니다.

    유전자에 따라 적혈구 표면에 서로 다른 조합의 항원을 가질 수 있습니다.

    A형의 경우 A항원, B형은 B항원, AB형은 A와 B항원 둘다가짐, O형은 A,B항원 둘 다 없음

    혈장에는 각 자신의 항원에 대응하지 않는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 다른 혈액형이 섞이면 항체와 항원이 결합하면서 적혈구가 엉겨 응고됩니다.

    그래서 수혈을 할 때는 동일한 혈액형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ABO식 혈액형 말고 Rh혈액형도 수혈에서 고려해야하는 요소입니다.

    Rh식 혈액형은 ABO식 혈액형과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혈액형으로,

    Rh+ A, Rh- A형 과 같이 ABO식 혈액형과 함께 표기합니다.

    여러가지 항원에 의해 나타나지만 그중 D항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항원의 유무로 구별하여 D항원이 있으면 Rh+, 없으면 Rh-형으로 표기합니다.

    Rh식 혈액형도 같은 혈액형끼리 수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특히 Rh-형에게 Rh+혈액형의 피를 수혈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그래서 수혈을 하려면 Rh혈액형과 ABO식 혈액형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세계적으로 Rh+형이 85%를 차지하며 Rh-형은 15%만 존재해 Rh-형의 혈액형이 더 구하기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ABO식 혈액형은 크게 A형, B형, AB형, O형으로 나누어지는데요, 이는 적혈구 표면에 발현되는 항원의 차이에 따라서 나누어지는 것입니다. ABO 혈액형 항원은 탄수화물인 당사슬(sugar chain)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O형 적혈구의 표면에는 ABO 혈액형 항원의 기본이 되는 H-chain이라는 구조물이 존재합니다. A형과 B형은 항원 구조가 아주 비슷한데, H-chain의 끝부분에 추가로 N-acetylgalactosamine이 부착되면 A형이 되고 galactose가 부착되면 B형이 됩니다. AB형은 A형과 B형의 구조물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ABO식 혈액형 이외에도 'Rh 혈액형'이 있는데요, Rh+와 Rh-로 구분하며 C, c, D, E, e 등 여러 항원 중 가장 항원성이 강한 D항원의 존재 유무로 나뉩니다. 이때 D항원이 존재하면 Rh+, D항원이 없으면 Rh-로 표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ABO 혈액형은 A형, B형, O형, AB형으로 나누는데, 이는 인체의 적혈구에 존재하는 표면 항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A형은 A 항원, B형은 B 항원, AB형은 A와 B 항원, O형은 항원이 없는 혈액형입니다.

    Rh 혈액형은 Rh 인자(또는 D 항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양성(+), 음성(-)으로 나누는데, Rh 인자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면 Rh 양성이고, 존재하지 않으면 Rh 음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은 주로 ABO 혈액형 시스템과 Rh 혈액형 시스템으로 나누어집니다. ABO 혈액형은 A형, B형, O형, AB형으로 나누며,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혈액형입니다. Rh 혈액형은 Rh 인자(+) 여부에 따라 Rh+ 형과 Rh- 형으로 나누어집니다.

    일반적으로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ABO와 Rh 혈액형입니다. ABO 혈액형은 A와 B 항원의 존재 여부, 그리고 혈청의 항체에 따라 구분되며, 이를 기준으로 A형, B형, AB형, O형으로 분류됩니다. Rh 혈액형은 Rh 인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Rh+ 형과 Rh- 형으로 나누어집니다.

  • ABO식 혈액형은 가지고 있는 항원에 따라 나눈 것입니다.

    A형은 A항원, B형은 B항원만 갖고 있으며, 두 항원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는 AB형, 두 항원 모두 없는 경우는 O형입니다. 반대로 다시 말하자면, A형은 B항체, B형은 A항체가 있고, 두 항체를 모두 갖고 있는 경우는 O형이고, 두 항체 모두 없는 경우는 AB형인 것이죠.

    흔히 말하는 말씀하신 ABO식 혈액형 이외에도 Rh, MNSs, Duffy, Kidd, Kell, Lewis 등 여러 종류의 적혈구 혈액형 항원들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혈액형이 나뉘게 됩니다.

  •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에 따라 분류됩니다. ABO식 혈액형은 A형, B형, AB형, O형으로 나뉘며, 이는 적혈구 표면에 A항원, B항원, 둘 다 또는 아무것도 없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외에도 Rh 혈액형이 있으며, Rh 항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양성(+)과 음성(-)으로 나뉩니다. ABO와 Rh 외에도 여러 다른 혈액형 시스템이 있지만, 주로 ABO와 Rh가 수혈과 의학적 판단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일단 ABO, Rh 형 외에도 수많은 적혈구 혈액형이 존재하긴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A,B,O,AB형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의 차이를 기준으로 한 분류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