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가 4계절 푸를수있는 이유는뭔가요?
군대에있을때나 사회에있을때보면 소나무는 항상 푸른색을 유지하는데 물론 가끔 갈색도되긴하던데 유지할수있는 이유는뭐고ㅜ갈색으로 변하는건 왜그런거죠?
소나무는 대표적인 침엽수이자 사철나무입니다.
침엽수들은 잎이 바늘형태로 되어있어 수분손실이 거의 없어 활엽수들처럼 건조한 겨울과 가을에 잎을 떨어뜨릴 이유가 없습니다.
활엽수들은 건조한 기후로부터 체내 수분을 지키기위해 잎사귀의 떨켜를 차단시켜 낙엽형태로 떨어뜨립니다.
소나무와 같이 사계절 내내 푸른 나무를 상록수라고 부릅니다. 상록수는 나뭇잎을 이루는 세포액 하나하나의 농도가 짙은데, 추운 날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어 푸른 잎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수명을 다한 나뭇잎이 조금씩 나뉘어 떨어지기 때문에 항상 푸른 잎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른 나무들이 가을에 잎을 떨어뜨리는 것과는 달리, 소나무는 겨울에도 깃털 같은 잎사귀를 유지하며 꾸준히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나무가 건조한 환경에서도 물을 효율적으로 보존하고,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적응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나무는 4계절 동안 녹색 잎사귀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소나무는 상록침엽수에 속하는 나무로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기에 사계절 내내 푸른잎을 볼 수 있습니다. 가끔 잎이 갈색으로 변한다면 영양부족이나 병충해 등의 환경적 영향이 있지 않았나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소나무는 침엽수로서 잎의 구성과 생리적 능력이 낙엽수와는 달리 상시성을 유지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갈색으로 변하는것은 해당 부위의 가지와 잎사귀가 죽었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