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

CPI, PPI 중에서 MoM, YoY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전월 대비, 전년 대비라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만 알고 정확히 어떻게 풀이? 해석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제 발표한 PPI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생산자물가지수(YoY) (3월)은 실제 : 2.7%, 예상치 : 3.0%, 이전 : 4.9%

전월 대비하여 2.7% 상승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이전의 4.9%는 2월달 수치로서 1월달에 비하여 4.9%가 오른 것이고,

2월(4.9%), 3월(2.7%) 지표가 나타나는 것은,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하여 상승은 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흐름상으로는 둔화 및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라고 생각을 하면 되는 부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YoY: Year on Year의 약어로 전년 대비를 의미합니다.
    MoM: Month on Month의 약어로 전월 대비를 의미합니다.

    생산자물가지수(YoY) (3월)은 실제 : 2.7%, 예상치 : 3.0%, 이전 : 4.9%
    이 부분에서 2.7%는 작년 3월 대비 올해 3월에 2.7%상승하였다는 의미이며
    이전 4.9%는 작년 2월 대비 올해 2월에 4.9% 상승하였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이 수치를 볼 때 매달 전년대비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시장이 둔화하고 있다고 바라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YOY와 MOM에 대해서 설명드린다면, YOY는 YEAR ON YEAR으로 전년 대비 변화률을 의미하는 것이며, MOM은 MONTH ON MONTH로서 전월 대비 변화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사진을 보시게 되면 YOY의 경우는 전년 동월 대비 2.7%의 생산자물가상승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것이며, MOM은 전월대비 -0.5%로서 지속적으로 생산자물가지수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년비 물가지수에서 이전이라는 것은 전월달의 전년비 물가상승률을 뜻 하며, 두 가지 지표의 차이가 전월비을 뜻 하지는 않습니다.

    어제 발표된 PPI의 전월비 물가상승률을 -0.1%로 하락하면서, 물가상승이 둔화되고 있다는 시그널을 보냈습니다.

    전년비 상승율 또한 전월대비 둔화되고 있는 상황으로, 자산시장으로서는 금리인상의 끝이 보이고 있따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긍정적인 부분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