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그러나그러므로
그러나그러므로

초등학생들 요즘 사귀고 하는데 초2인데?

초등학교2학년인데 사귄다는 표현을 하더라구요.

음. 정말 이해가

안되서 아이들의 세계가

그렇게까지 빠르게 변하고 있는건지ㅜ 걱정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네 지인의 아이는 초등학교 1학년 때 남친이 있었다고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요즘은 아이들의 성숙도가 빨라진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오는 시기 또한 빨라졌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사춘기를 10세에서 14세 사이에 맞게 됩니다.

    그러나 일찍이 9세에 시작되거나 또는 16세까지 지속되기도 하는데 이상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여자 아이 10~12세(초4~초6) 전후로 시작해서 15~17세(중3~고2) 사이에 끝나지만 사람마다 인격과 성격의 변화는 서로 다르고, 2차 성징의 시작 시기는 보통 여자가 남자보다 이르며,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의 성장이 예전에 비해 많이 빨라진 편이기도 하고 그만큼의 성숙도 빨라졌지요.

    아이들의 성숙도가 빨라지긴 했어도 좋아하는 것과 사귄다 라는 표현에 있어 미숙함 점이 있는 것은 사실 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는 것은 맞지만 정신적으로 완전히 성장은 하진 않았기에 아이들에게 많은 지도 및 조언은 필요로 합니다.

    아이와 앉아서 올바른 이성교제에 대해 알려주고, 서로 지켜야 할 선을 지키면서 사이좋게 지내야 함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2학년 아이들이 '사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놀랄 수 있지만, 이 나이대는 아직 진정한 의미의 연애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할 필요는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는 것보다 아이에게 건강한 친구관계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요즘 아이들의 경우에는 예전과는 다르게 모든것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것이 맞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유튜브의 경향이 아주 크다고 보셔야 되겟습니다. 아이들을 위해서 영상을 많이 틀어주는데 키즈전용이 아니라면 중간중간 광고가 들어가고 또한 영상을 보고 나서는 부모님의 알고리즘 대로 영상에 제멋대로 재생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할때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기도 원하지 않지만 자기 나이와는 맞지 않는 동영상을 보곤 하는데 이시점에서 아이들은 사귄다는 표현 또는 비속어 등을 배운다고 합니다. 따라서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른들이 하는것을 하곤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교육을 잘 시켜주셔야 될것으로 보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는 어떤 행동을 할지 알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어린이들이 남자 여자아이들이 사귄다고 하는 건 그렇게 큰 의미를 갖지는 않습니다. 소꿉놀이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학교에서도 아이들을 지도할 때 전혀 이상하다고 반응을 보이거나 그렇지 않습니다. '친구끼리 있는 서로 좋아할 수 있다' 라면서 자연스러운 반응을 유도해 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요즘 아이들이 서로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어렸을때부터 서로 사귀고 하는게 보편화된거 같네요ㅎㅎ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아이들이 사귄다는 말은 어른들이 하는 그런 의미의 사귐은 아니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들이 이런 표현을 사용한다고 해서 실제로 복잡한 연애 관계를 경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시기에는 친구와의 관계나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런 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모로서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이러한 표현을 통해 서로의 감정을 건강하게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아이들과의 대화에서 그들이 어떤 의미로 ‘사귄다’는 표현을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열린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건강한 방법을 배우고, 부모와의 신뢰를 더욱 깊게 할 수 있습니다. 성장의 과정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세요. 학교나 친구들 사이에서 이런 표현이 사용되고 이를 통해 서로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이라 보시면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