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와 미국 관세 협상 변화가 우리 대미 수출에도 영향을 줄 수가 있나요
스위스가 미국과 고율관세를 피하기 위해 협상안을 수정했다고 하는데 이런 양자 협정 변화가 우리나라 대미무역환경에도 파급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스위스가 미국과 관세 협상안을 손질했다는 건 단순히 두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흐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입니다. 특히 스위스가 미국 시장에 진입하는 세율 조건이 완화되면 경쟁 품목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나 정밀화학처럼 스위스가 강점을 가진 분야에서 미국 내 가격 경쟁력이 올라가면 우리 수출 점유율이 조금씩 밀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스위스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요구하는 까다로운 원산지 규정을 받아들였다면 우리나라와의 경쟁 구도는 오히려 완화될 여지도 있습니다. 무역은 결국 시장 점유율 싸움이라 이런 변화가 간접적인 파급 효과로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스위스와 미국간 관세협상의 변화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협상 수정 시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단 스위스의 보복조치는 없을 것이지만 시시각각 변동되는 정책사항들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은 이번 스위스 사례처럼 양자 협정·개별 품목별 예외 조건을 적극 활용해 자국에 유리한 조달·생산 구조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스위스가 관세 회피를 위해 특정 제조공정의 미국 이전, 원산지 기준 강화, 또는 미국산 원재료 사용 비율 확대 등에 동의했다면, 이는 향후 한국과의 협상에서도 사례·전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즉, 미국이 “스위스도 이런 조건을 수용했다”는 논리를 들어 한국에도 유사한 양보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스위스가 미국과의 협상안을 조정해 고율관세를 피하게 되면, 해당 품목에서 스위스산이 경쟁 우위를 확보해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 점유율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관세 차이가 가격 경쟁력에 직접 연결되는 품목일수록 영향이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도 한미 fta를 통해 상당수 품목에서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어, 중복 품목 여부와 시장 내 대체 가능성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사실상 이러한 스위스와 미국과의 관세가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상호관세에 대한 협상은 각각이기에 이러한 협상에 따라 우리나라의 협상이 변경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스위스에 대한 완경한 입장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세부 협상에 대하여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