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코스피, 코스닥의 등락은 어떤 부분을 평균내는 건가요?

코스피, 코스닥의 등락이 수치로 표시되는데 그 안에는 많은 종목들이 있잖아요?

각종목들의 상승률, 하락률을 계산해서

코스피, 코스닥의 변동치를 수치화하는 건가요?

아니면 종목마다 다른 단가들을 더해서

오로지 돈이 들어오고 나간 것으로

전체의 수치를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스피와 코스닥 각각 종목들에 대한 시가총액에 대한 가중평균으로 산정하여 등락을

      산정합니다

    • 즉 삼성전자가 1%만 움직여도 코스피에 큰 영향을 주는 이유도 이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각각의 시장에 상장된 모든 종목들의 주가 변동을 가중평균하여 산출됩니다. 즉,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주가 × 발행주식수)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수를 계산합니다. 시가총액이 큰 종목일수록 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므로, 주요 대형주들의 주가 변동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종목들의 단가를 더하는 방식으로 지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각 종목의 시가총액 변동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결국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 자체가 '개별 종목들'을 지수화 해놓은 것이므로, 이 지수에 포함된 모든 주식 가격의 등락을 계산해서 그걸 지수화하게 됨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으로 수치화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등락은 시장에 상장된 각 종목의 가격 변동을 지수화한 결과입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입니다. 각 종목의 시가총액(주가 × 발행 주식 수)을 기준으로 시장 전체의 변동치를 계산합니다. 즉, 특정 종목의 가격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에 따라 결정됩니다. 상승률과 하락률이 단순 평균화되는 것이 아니라, 시가총액이 큰 종목의 변동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코스피와 코스닥의 지수 변동은 단순히 종목별 가격 합계나 거래 금액이 아니라, 각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을 반영하여 산출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 전체의 흐름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코스피와 코스닥 전체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개별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다 더하면 코스피 시가총액 코스닥 시가총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지수 전체의 시가총액 변화율이 등락율로 표현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