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호기심대학생
호기심대학생

신생대에 제4시가 있는데 그럼 1,2,3기도 있나요?

신생대는 팔레오기

네오기

제4기가 있는 것으로 교육과정에서 배웠는데

그래서 팔네4라고 암기하곤 했습니다

그럼 1,2,3기도 있나요?

있다면 왜 따로 학습안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1833년에 영국의 지질학자 '찰스 라이엘'이 지층의 특성과 부정합을 기준으로 지질 시대를 제 1기, 제 2기, 제 3기, 제 4기로 구분하였습니다.

    그러나 1872년에는 지층에서 발견되는 동물 화석의 종류에 따라 지질 시대를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다시 구분하였습니다.

    이때 제 1기와 제 2기는 각각 '고생대’와 '중생대’로 다시 이름이 정해졌고, 제 3기와 제 4기는 '신생대’로 합쳐졌습니다.

    따라서 신생대에는 1기와 2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신생대"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팔레오기"와 "네오기"는 국내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팔레오기"는 원시시대를 뜻하며, 지구상에서 인류의 최초의 문명이 형성되기 전 시대를 말합니다. "네오기"는 새로운 시대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현대 시대를 포함하는 시대로 사용됩니다.

    교육과정에서 "팔레오기"와 "네오기"를 구분하여 가르치는 이유는, 인류 역사의 발전과 변화를 이해하고 시대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팔레오기"에서 "네오기"로의 변화는 인류의 문화, 기술, 사회 구조 등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신생대에는 팔레오기 네오기 제4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에도 123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기원 시대는 아직까지도 많은 미지의 영역이 있어서 정확한 시기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는 주로 팔레오기부터 제4기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팔레오기부터 제4기까지의 시기는 지구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팔레오기는 지구의 초기 형성부터 약 5억년 전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이때 지구의 대부분의 지형적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네오기는 약 2억 5천만년 전부터 약 6천만년 전까지의 시기로 이때는 지구의 대륙들이 현재의 모습으로 정체되었고 생물 다양성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제4기는 약 6천만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로 이때는 인류의 진화와 함께 지구의 기후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를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 과정에서 빠지는 부분이 있더라도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신생대는 원래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로 나뉘었습니다.

    고생물학의 발전으로 제1기와 제2기는

    적절하게 설정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고 결국 1960년대 이후에는

    제1기와 제2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제3기와 제4기만이

    신생대에 포함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제1기와 제2기는 신생대의

    초기 시기였지만

    지질학적 특징이나 동물 화석의 종류에 따라

    신생대의 다른 시기와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

    제1기와 제2기의 기간이 너무 짧아서

    별도의 학습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현재의 교육과정에서는

    신생대를 팔레오기 네오기

    제4기로만 나누어 가르치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