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익지 않은 과일을 따서 둬도 익는 과학적 이유가 뭔가요?

제대로 익지 않은 과일을 먼저 따게 되는 경우가 있죠.

예를들어 바나나의 경우 초록색일때 따기도 하는데.

분명 나무에 달려있지 않는데 익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맛있는 과일이 달리는 이유는 내부에 있는 씨앗을 퍼트려 줄 수 있는 동물을 유혹하기 위함입니다. 과일이 맛있어 지기 위해서는 익어야 합니다.

      에틸렌에 의해서 숙성이 촉발되고 각종 효소들의 작용으로 전분과 산의 수치가 감소하고, 당이 증가하여 맛있어 지게 되는 것 입니다. 푸른 바나나를 수확했다고 해도 나무에 달려 있을 때 이미 에틸렌에 의한 숙성은 촉발된 상태이고, 수확후에도 바나나에서 숙성과정이 계속되기 때문에 나무에 매달려 있지 않아도 익을 수 있는 것입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바나나 껍질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바나나에서 생기는 에틸렌 가스 때문입니다.

      에틸렌이 바나나의 색소를 분해하여 바나나가 점점 노랗고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바나나 내부는 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매에는 영양분이 풍부합니다. 그래서 나무에서 떨어져도 떨어지기전에 가지고 있던 영양분을 사용하여 익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