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전남보성이 왜 서편제 판소리의 성지가 되었나요?

아주오랜 옛날부터 전남보성에 가면 소리 자랑하지마라 할정도로 보성에 사시는분들 막걸리 한잔드시면 누구나 판소리 한가락씩 했다고 하더군요. 역사적으로 전남보성이 판소리 서편제의 성지가 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보성소리(강산제)는 보성출신의

    박유전이 창시했고, 강산제라는 명칭의 유래도 그와 관련된다. 강산제라는

    명칭은 박유전(朴裕全, 1835~1906)이 대원군 앞에서 심청가를 부르자

    대원군이 “네가 강산 제일이다”라고

    극찬한 데서 유래되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편제는 판소리 유파(流派)의 한 갈래로 일명 강산제라고도 합니다.

    명창 박유전의 법제를 이어받은 서편제는 광주·나주·해남·보성 등지에서 성행했습니다.

    그 중 보성에서 가장 성행하였고, 현재는 보성에서 서편제 축제도 열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편제 보성소리’는 서편제라 하여 전라도 서쪽지역(광주·보성·나주·고창 등)에서 전승되는 서편제의 분파로, ‘강산제[보성소리]’라 칭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서편제는 슬픈 계면조의 노래로, 동편제에 비해 기교가 많아 장단의 진행속도가 비교적 느리다고 합니다. 여러 유파에 비해 늦게 생긴 소리지만 가장 세련된 소리라 일컬어진다고 함다. 이러한 계면조 위주의 서편제를 바탕으로 웅장하고 호탕한 소리인 우조(羽調)를 입힌 새 유파가 강산제입니다. 1993년 영화 [서편제]이후 더 유명해 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철종 때의 명창인 박유전에 의해 창시된 판소리 양대 산맥의 하나로, 광주·나주·보성·강진·해남 등지를 중심으로 이어져 왔는데, 이 지역이 전라도 서쪽에 있다 하여 서편제라 일컬어지는 것이다.

    서편제의 특징은 활달하고 우렁찬 동편제와 대조적으로 가창의 성색(聲色)이 부드러우며 구성지고 애절한 느낌을 준다. 노래소리의 끝도 길게 이어져서 이른바 꼬리가 달렸으며, 부침새의 기교가 많고 계면조를 장식하여 정교하게 부른다.

    서편제의 창법과 잘 어울리는 창으로는 ‘심청가’를 꼽을 수 있다.

    서편제의 명창으로는 박유전,김채만,이날치,정창업,김창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