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물가 지수 와 인플레이션 율 은 어떻게 다른가요?
보통 시장 에서 주시 하는 미국 거시 지표 들 중 대표적으로
고용 지표ㆍcpiㆍ금리 등이 있는데요.
그런데 여기서 헷갈리는 부분은 cpi 발표 후 투자자 들은 대부분 cpi결과 공유를 인플레율 통계를 공유 합니다.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지만 cpi근원 물가 지수는 따로 통계가 나오던데, 인플레ㆍ물가 두 지표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일상 물가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물가 자체의 지수를 나타냅니다.
인플레이션율은 CPI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율(%)로, 물가 상승 속도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서 CPI가 110에서 112로 올라갔다면 인플레율 1.8%. 증가한 것으로 봅니다.
투자자들이 CPI 발표 후 인플레율을 공유하는 이유는 Fed 금리 정책이 인플레 추세에 민감하기 때문이며 이는
물가 수준보단 올라가고 내려가는 증감의 폭을 보면서 경제를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CPI 근원지수, 일명 Core CPI는 식품·에너지 변동을 제외한 안정적 물가로, 인플레 추세를 더 정확히 반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 자체가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평균적인 변화를 측정해서 발표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CPI 상승률이 곧 인플레이션율을 의미하는 것이죠. CPI가 오르면 물가가 오르고 있다는 뜻이어서 투자자들은 CPI 수치를 보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근원 CPI는 전체 CPI에서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지표인데, 일시적인 요인에 흔들리지 않는 핵심적인 물가 상승 추세를 보여주기 때문에 중앙은행에서 통화 정책을 결정할 때 더 중요하게 참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율은 밀접하지만 다릅니다. CPI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수준 자체를 지수로 나타낸 물가 수준 지표입니다. 반면, 인플레이션율은 이 CPI가 특정기간(예: 전년 동월) 동안 얼마나 변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변화율 입니다. 즉, CPI가 물가의 절대적인 높이라면, 인플레이션율은 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CPI 물가 지수와 인플레이션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CPI는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척도이지만
인플레이션율은 그 척도가 변화하는 율을 보여줍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CPI지수는 상품과 서비스의 물가 수준 자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인플레이션율은 이 CPI의 전년 대비 상승률을 의미하며 물가 상승의 속도와 정도를 보여주지요.
투자자들이 CPI 발표 후 인플레이션율을 주로 보는 이유는 이 변화율이 체감 물가와 통화 정책 판단에 더 직관적이기 때문입니다.
일반 CPI는 모든 항목을 포함하지만, 근원 CPI는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하여 단기적 충격을 걸러내고 장기적인 물가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합니다.
또 근원 CPI는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결정할 때 중요하게 참고하는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