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

근원인플레이션이랑 인플레이션은 왜 따로 구하나요?

미국에서 인플레이션 발표할때 보면 근원인플레이션이랑 인플레이션을 발표하던데 굳이 이렇게 두가지를 나눠서 발표하는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어떤게 더 정확한가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중한하마99
      신중한하마99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원인플레이션의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서 물가 변동폭이 상황에 따라 너무 크게 작용하는 원자재나 농산물 등을 제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여 조금 더 정확한 근원을 파악할 수 있는 반면 국민들이 느끼기는거와는 다르게 다가 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여 두개다 모두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변동 중 통화정책에 영향을 받는 부분만을 분리해 만든 것으로, 현행 소비자물가에서 곡물 이외의 농산물, 석유류(휘발유, 경유, 등유, 프로판가스 및 도시가스) 등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제외한 물가상승률을 말합니다.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통화량 이외의 변수를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통화량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통화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주기 위해 개발된 지표를 말합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정책을 수행하는 주요 지표로 근원인플레이션율을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이후 중앙은행의 물가안정목표제도의 지표로 근원인플레이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통계청에는 매달 소비자물가와 더불어 소비자물가에서 곡물을 제외한 농산물과 석유류의 가격 변동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도 발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원인플레이션은 기초 경제 여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장기적인 물가상을 말하는겁니다. 즉,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농산물 가격, 국제 원자재 가격등의 변동분을 제거하여서 계산하는걸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원인플레이션은 기초경제여건에 의하여 결정되는 물가상승률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소비자물가상승률에서 농산물 가격, 국제원자재가격 등의 변동분을 제거하여 계산합니다.

      근원인플레이션은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통화량 이외의 변수를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통화량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통화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주기 위해 개발된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원인플레이션은 일반인플레이션에서 에너지와 같은 변동성이 높은 지표들을 제외한 수치로서, 일반인플레이션보다 더 실생활과 밀접한 인플레이션을 반영하기에 이를 나누어서 발표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원 인플레이션은 기초경제여건에 의하여 결정되는 물가상승률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경우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에서 농산물 가격, 국제원자재가격 등의 변동분을 제거하여 계산합니다.

      근원인플레이션율은 물가에 미치는 단기적·불규칙적 충격이 제외되어 기조적인 물가상승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일반국민들의 체감물가와 괴리될 위험성이 있어서 근원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