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식곤증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나이
성별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특히 점심때가 가장 심한데 점심을 많이 먹든 적게 먹든 먹고 나면 한시간 뒤부터 졸음이

쏟아져서 업무에 집중이 안됩니다. 졸음 깨는 껌 같은건(?) 먹어봤자 크게 효과가 없구요.

커피를 마시면 제가 저녁에 잠을 잘 못 자서 카페인도 잘 못먹어요. 병원가서 따로 진찰을

받아서 약 처방을 받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이명규 내과 전문의
    이명규 내과 전문의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안녕하세요.

    식곤증을 약을 드시는 것으로 좋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주로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드신 경우, 식곤증이 더 느껴질 수 있으며 샐러드나

    조미료가 적게 들어가고 적은 양의 식사를 하는 것이 식곤증을 이겨내기 쉬우며

    음식과 함께 따뜻한 물이나 음료를 자주 드시는 경우 식사를 많이 하지 않아도

    포만감을 느껴 소화에 과도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식곤증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식곤증 해결법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아래 방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병원 방문을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식곤증이 심하다면 트립토판이 많이 포함된 우유, 바나나 등의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짧은 낮잠도 증상 해소에 도움이 된다.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를 하면 식곤증 증상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소화기관에 음식물이 들어가게 되면 소화 및 흡수를 위해 상당한 양의 혈류와 산소 공급이 필요합니다. 평소 두뇌는 우리 몸에서 무게로서는 상당히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평소 전체 혈류의 20% 가량을 소비할 정도로 매우 에너지와 산소가 많이 필요한 장기입니다. 그러므로 식사 후 상대적으로 혈류가 줄어든 두뇌에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졸음이 쏟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잠을 깨우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조건이 허락된다면 잠시 10-15분 가량 낮잠을 취하는 것이 식사 이후 재충전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식사 후에는 소화를 위해서 위장관계에 혈류가 몰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뇌와 신체의 다른 부위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기 때문에 식곤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곤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조금씩 자주 먹기 : 한 번에 많은 음식을 먹을 경우 식곤증이 심하게 올 수 있습니다.

    2) 양질의 수면을 취하기 : 하루 8시간 이상의 충분한 숙면이 필요합니다.

    3) 산책 하기 : 식사 후 산책을 하는 것은 피로를 덜어줄 수 있습니다.

    4) 밝은 조명에 있기 : 밝은 빛에 노출되어 있으면 피로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5) 반주를 하지 않기 : 음식과 함께 알코올을 섭취하면 피곤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낮잠을 주무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수면을 억지로 이겨내려고 하면 더 힘들겁니다.

    굳이 카페인을 더 섭취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따로 약까지 안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평소 수면의 효율이 좋지 않아서일수 있습니다.

    수면효율 높이는 법

    식곤증이 와서 낮잠을 많이 주무시는 분들이 많은데, 수면패턴이 망가지는 지름길입니다.

    낮잠은 10~20분정도만 주무시고 조금 힘드시더라도 깨어있으셔야 밤에 잠을 잘 들 수 있습니다.

    커피,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의 양을 조절하셔야합니다. (개인차가 많아서 자신이 얼마나 마셨을때 잠이안오는지 체크를 하셔야합니다.

    운동을 하셔야합니다.

    적당한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수면전에 밀가루 음식등의 소화가 잘 안되는음식을 드시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못 참을 정도로 증상이 심하다면 기저에 당뇨나 컨디션이 약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 생활습관개선으로 경과관찰하시고 증상이 심해지거나 너무 오래경과되면 가까운 의원에서 진료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식곤증은 식사후 소화를 위해서 위장관으로 혈액이 몰리다보니 뇌로 공급되는 혈액이 줄어들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병적인 증상은 아니므로 병원 진료를 받거나 약을 먹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식사후 가볍게 산책을 하시거나 스트레치을 하시는게 도움이 될 수 있겠고 우유나 바나나같이 트립토판이 많이 들어간 음식은 섭취를 줄여주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너무 졸리시면 잠깐 낮잠을 자는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