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지구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절반이상을 바다에서 나온다던데 바다의 어디에서 산소가 생성되는 것인가요?

현재 지구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50%~80%가 바다에서 나온다고 추정을 한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지구의 허파라 불리는 아마존보다 더 산소 생산량이 만다는 것인데

바다에서는 어떤 과학적인 작용들이 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인가요?

바다에서 생산디는 산소들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지상으로 섞이게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산소는 주로 식물성 생물인 식물플랑크톤과 조류에 의해 생성됩니다. 식물플랑크톤과 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소를 생산합니다. 바다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 작용은 지구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며, 이 산소는 대기로 방출되어 지구 전체에 공급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나무라 불리는 해조류가 산소를 만들어 내는 역활을 합니다. 나무가 광합성을 하듯 해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 내는 것이며 푸른 나무만 광합성을 하는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생산되는 산소는 주로 표층에서 일어나는 해조류와 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해 발생합니다. 특히 적도 지역과 연안 지역에서 해조류가 풍부하여 많은 산소를 생산합니다. 또한, 찬물은 따뜻한 물보다 더 많은 산소를 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남극해와 북극해에서도 많은 산소가 생산됩니다. 이처럼 바다의 다양한 곳에서 생산되는 산소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50%~80%가 바다에서 나온다는 추정이 있습니다. 이는 바다에서 발생하는 식물성 생산물인 식물플랑크톤이 산소를 생산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다는 지구에서 가장 큰 생태계이며 식물플랑크톤은 바다에서 가장 많은 생물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다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양이 지구의 허파라 불리는 아마존보다 더 많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바다에서 산소가 생산되는 과정은 광합성과 호흡과정입니다. 바다에서는 해조류와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소를 생산합니다. 그리고 바다에서는 동물성 생산물인 미생물들이 호흡과정을 통해 산소를 소비합니다. 이러한 과정들이 바다에서 산소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다에서 생산된 산소는 바다의 표면에서 대기로 직접 섞이는 것이 아니라 바다의 표면에서 대기로 산소가 이동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바다의 표면에서 산소는 대기와 교환되며 바다의 파도와 바람에 의해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다에서 생산된 산소는 지구의 대기 중에 섞이게 됩니다.

    지구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절반이상을 바다에서 생산된다는 것은 바다가 지구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바다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이 지구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산소가 생산되는 주요 과정은 광합성과 바다의 물리적 현상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바다의 식물인 식물플랑크톤이나 조류 등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CO2)를 흡수하고, 물과 함께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합니다. 이과정에서 산소가 생산되며, 바다 생태계에 의해 상당량의 산소가 생성됩니다.

    해조류도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성합니다. 해조류는 바다의 대규모 생산자로서, 해조류의 광합성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소가 생산된 바다에서 대기 중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대기와 바다 사이의 화학적 및 물리적 교환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주요한 방법은 바다의 파도 및 파도 운동에 의해 산소가 대기로 무드(mixing) 되는 것입니다. 또한, 해양 생물이 소비하지 않은 산소는 대기와 바다 사이의 교환 과정을 통해 지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다에서 생성된 산소는 지구의 대기 중에 혼합되어 지상의 생물에게 공급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말씀대로 지구의 산소는 대부분 바다에서 생산됩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8%를 차지하며, 말씀하신 50%보다 높고 80%보다는 낮은 전체 산소 배출량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이 산소는 바다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바다의 해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해조류는 태양빛을 받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물과 결합하여 포도당과 같은 양분을 만들어내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가 생성, 대기로 방출됩니다. 이렇게 해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