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꽃다운솔개90
꽃다운솔개90

올해 날씨는 작년보다 더위가 늦게 찾아오는듯한데 왜 인가요?

우리나라도 아열대기후로 변할수있는 상황같습니다. 인종도 바뀌고 먹는것 많은부분이 바뀔텐데 어느정도의 세월이 흘러가야 그리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이미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고, 일부 지역은 점차 아열대 기후로 전환되고 있는 중입니다. 예를 들어, 울산과 남해안 일부 지역은 이미 아열대성 기후로 분류되기 시작했습니다. 기상청의 예측에 따르면, 21세기 후반(2070~2100년)에는 충청남도까지 아열대 기후대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미 제주도뿐 아니라 경남 지역에서도 망고, 바나나, 파파야 같은 아열대 과일이 재배되고 있고, 대성 어류와 곤충이 북상하고 있고, 기존의 고산 침엽수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결국 이런 변화는 수십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나지만, 이미 시작되었고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더위가 늦게 찾아온다고 느끼는 것은 지구 온난화 때문입니다. 사실 여름이 늦게 오는 것처럼 현재 대기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예측하지 못하는 기상이변이 가장 큰 문제 입니다. 온실가스로 인해서 지구의 연평균기온은 천천히 올라가고 있기에 계절의 변화도 천천히 올거라 생각하지만 그 반대 입니다.

    대기의 순환은 극지방과 적도의 온도차에 의해 일어납니다.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바람이 불어가는데 이는 고기압이라는 극지방의 차가운 바람이 적도지방의 따뜻한 바람이 있는 곳으로 순환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지구가 온난화 됨에 따라 극지방은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과거와 같은 온도차에 의한 대기순환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고 있기에 대기가 정체되어 다양한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제가 체감 하는것은 더 빨리 더워지고 여름이 길어질듯 한데 더위가 늦다는것은 여름이 짧아진다는것이기도합니다 여름이 짧아지면 아열대기후가 아니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