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굳건한사마귀212
굳건한사마귀212

9월에는 왜 주식시장이 안좋다고 하는건지 궁금해요

9월에는 왜 주식시장이 안좋다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1) 이는 미국장 뿐만아니라 한국주식에도 포함되는건지 궁금합니다.

2) 금년도에는 다른 기대가 반영될수도있는건지 궁금하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경제 사건과 제도적 이슈가 맞물리며 통상적으로 9월은 수익률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데, 미국 증시가 그렇고 우리나라 증시는 그렇게 보기 어렵습니다.

    올해 역시 그런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9월에 주식 시장이 안 좋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2020년 이후 2024년을 제외한 모든 9월에 약세를 보였으며

    이는 결국 계절성 약세로 보여지기에 어려우며

    결국 미국 시장이 어렵게 되면 한국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에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주식이 오히려 더 좋지 않았습니다 9월에는 통계적으로 좋지 않았으며 이는 시장의 호황기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다만 명확한 이유는 모르며 한국시장 같은 경우 명절전후로 거래량이 한산하면서 좋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휴가철시즌에 접어들면서 8~9월에 대체적으로 거래량이 한산했으며 또한 글로벌적으로 9월의 큰 위기가 있었고 블랙먼데이나 2008년 금유위기때도 이시기였습니다.

    미국또한 8~9월에 한달가까이 휴가를 하며 이때 적극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을 하지 않으며 이시기에는 잭슨홀미팅과 주요 FOMC회의가 이때 나오고 이때부터 오히려 금리정책이 크게 바뀌면서 영향을 준게 아닐까하고 추정을 할뿐이지 명확한 이유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9월은 여름 휴장 후 유동성축소, 미국 회계연도 말 자금수요 변동성 상승이 있으며 한국도 대체로 연동되지만, 정책, 실적, IPO 등 이벤트에 따라 예외가 자주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9월 증시가 왜 늘 안 좋다는 얘기가 나오냐면 약간 징크스 같은 게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9월에 미국 증시 수익률이 다른 달보다 낮았던 통계가 꽤 많습니다.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서 괜히 불안감이 퍼지고 또 실제로 매도세가 나오면서 분위기가 더 가라앉는 경우가 있죠. 이게 우리나라 시장에도 영향을 줍니다. 미국장이 흔들리면 바로 따라가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다만 올해는 금리 인하 기대라든가 기업 실적 회복 같은 긍정적인 요인도 같이 깔려 있어서 꼭 예전 패턴이 반복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투자자 심리가 어느 쪽에 더 쏠리느냐가 중요한 거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9월에 증시가 약세라는 말은 계절적 요인과 역사적인 통계에서 비롯 되었습니다.

    미국 증시의 경우 과거 9월 평균 수익률이 가장 낮았고, 한국 또한 글로벌 자금 흐름에 연동되어 비슷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유는 여름 이후에 차익 실현 그리고 펀드 환매, 기업의 실적 공백기 등이 겹치기 때문이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통계적인 경향일 뿐 금리 인하 기대, 정책 모멘텀 등과 같은 변수가 나타날 경우 다른 흐름이 나올 수 도 있습니다.

    즉 9월 약세는 참고할 지표이지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