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전이전이
전이전이

보험료와 소득대체율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나요?

늘어가고 있는 보험료 때문에 부담이 됩니다. 보험료와 소득대체율은 어떤 상관 관계가 있나요? 적정 소득대체율은 어느 정도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보험료를 어느 정도 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소득대체율은 연금에서 적용하는부분이고 연금가입기간동안에 월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수치 입니다.

    노후에 안정적인 소득대체율은 70%정도 이며 현 국민연금은 40%라고 하지만

    실질적인 수치는 20%정도 밖에 되질 않습니다.

    보장성보험과 소득대체율은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을 말하고 있는 건가요? 소득대체율이 높아지면 보험료는 당연지사 늘어날 수 밖에 없고 실질 납부를 하는 층이 점점 얇아지면서 납부해야할 보험요율은 지금보다 훨씬 높아져야 가능한 수준입니다.

    적정 소득대체율 저에게 물어보시면 명확하게 말씀드릴 수 있지만 옆집 순이는 생각이 다를 겁니다.

    즉, 개개인별로 적정한 소득대체율이라는 것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실질 재산이 많고 연금을 제외하고도 소득이 있을 만한 사람들은 국민연금이 과연 필요할까요? 이들이 원하는 것은 낮은 소득대체율로 낮은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이고 직장생활만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높은 소득대체율을 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