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경복궁 화장실 구조와 오폐수 처리 원리는 어땠는지 알려주세요~
조선시대 임금과 고위 관리들이 머물렀던 경복궁에는 화장실 또한 제대로 갖춰져 있었다고 들었어요. 화장실의 구조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복궁에서 정화조와 유사한 시설을 갖춘 대형 화장실 유구가있는데 발굴 화장실 구조는 길이 10.4m, 너비 1.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로 된 구덩이 형태이며 바닥부터 벽면까지 모두 돌로 만들었습니다.물이 들어오는 입수구와 나가는 출수구가 따로 존재하고 화장실 옆에우물이 있어 물을 공급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복궁 화장실의 구조는 좁고 긴 네모꼴 석조로 된 구덩이 형태입니다.
바닥부터 벽면까지 모두 돌로 돼 있어 분뇨가 구덩이 밖으로 스며 나가는 것을 막았습니다.
분변에 섞인 오수는 분리되어 정화수와 함께 출수구를 통해 궁궐 밖으로 배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복궁 화장실 유적의 특징은 바닥과 벽면을 모두 돌로 마감해 분뇨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했고, 미생물을 이용하는 현대식 정화조와 유사한 정화시설이 적용됐다는 점입니다.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入水口)와 빠져나가는 출수구(出水口)가 설치됐는데,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북쪽 입수구 높이가 출수구보다 낮게 설계 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