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2년안에 서울가기
2년안에 서울가기

대변을 잘 보는데 배가 아파서 엑스레이 찍엇어요

나이
40
성별
여성

대변을 매일 못해도 이틀에 한번씩 보는데 배가 불편해서 엑스레이 찍었더니 대변하고 가스가 차있다는데 그러면 관장이나 하제를 먹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40세 여성이시면 관장을 하실 상황까지는 아니고 하제를 먼저 복용해보시는게 맞겠습니다.

    변비약중에는 mago, duphalac 같은 대변이 물을 머금을 수 있게 해주는 약들이 많습니다.

    이런 약에 반응이 없으면 대장을 자극하는 아락실이나 듈코락스같은 약을 사용해볼 수 있겠지만 이런 약들은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시는게 맞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이틀에 한 번 대변을 보더라도 복부 엑스레이에서 잔변이나 가스가 많이 보이면 장내 정체가 있는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복통이나 더부룩함, 가스 팽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상황이라면 식이섬유 섭취 및 수분 섭취 증가와 가벼운 운동으로 해소될 수 있습니다. 관장이나 하제 복용의 경우 증상이 지속적이거나 불편한 경우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가 불편하고 엑스레이에서 가스와 대변이 많다는 진단을 받았다면, 관장과 하제 사용이 증상 조절에 도움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치료는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의 정도와 진료한 의사의 판단에 따라 효율성이 결정되므로, 엑스레이 검사한 병원에서 진료한 의사의 소견에 따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배에 불편함이 있어 엑스레이를 찍었더니 대변과 가스가 차 있다는 결과를 받으셨군요. 대변을 이틀에 한 번 정도 본다고 하더라도, 가스가 차 있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장 내에 가스가 차는 것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소화 불량이나 식습관,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못해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식이 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수분을 충분히 마셔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스가 많이 차서 지속적으로 불편을 느낀다면, 산책과 같은 가벼운 운동을 통해 장 운동을 도와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관장이나 하제를 사용할지는 현재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료하에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엑스레이에서 대변과 가스가 많이 차 있는 것이 보였다는 것은, 장 내에 일시적으로 정체가 생겨 복부 불편감을 유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비록 대변을 이틀에 한 번씩 보신다 하더라도, 잔변감이나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복통, 복부 팽만, 더부룩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꼭 변비의 전형적인 증상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우선 식이섬유와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복부 마사지나 가벼운 운동으로 장운동을 도와보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통증이 심해질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하제나 관장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는 자가 사용보다는 병원에서 의사의 처방이나 지도를 받는 것이 안전해요

    특히 너무 자주 하제에 의존하면 장이 스스로 움직이는 기능이 더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복통이 지속되거나 구토, 심한 복부팽만, 대변이나 가스가 전혀 안 나오는 상태가 된다면 장폐색과 같은 응급 상황일 수도 있으니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현재는 일단 장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음식은 피하고, 장운동을 돕는 방법들(수분섭취, 식이조절, 규칙적 식사)을 먼저 실천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