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아이는 원래 낯가림이 있는 것이 정상아닌가요?

완전 아기일 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런데

아이가 낯가림이 전혀 없습니다

아기일때도 처음 보는 사람들한테 가서 잘 안기고

지금도 모르는 사람들한테도 낯가림 같은 것이 없어요

어떻게 보면 좋은 것일 수도 있는데

또 어떻게 보면 요즘 같은 세상에 상당히 위험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리 주의를 줘도 바뀌지 않는 천성 같은데

어떻게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낯가림이 있지만 주변에 여러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 다양한 상황과 경험을 접하게 되면 낯가림이 적을 수도 있어요.

      아이가 어느정도 인지능력이 생겼을 때 부모가 아닌 다른사람을 도와주거나, 따라가거나 하면 안된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가 될 시기에 타인에 대한 경계에 대해 가르쳐도 늦지 않습니다.

      어차피 어릴 때는 부모가 항상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엄마를 좋아하고 낯선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데 아무에게나 잘 안기고 특별히 엄마를 더 찾느것 같지 않다면 애착관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평소에 엄마와 애착관계를 충분히 형성할 만큼 엄마와 시간을 가지고 엄마가 아이를 잘 보살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너무 일찍 어린이 집에 갔다던지 하는 경우에는 엄마와 애착관계가 형성되기도 전부터 여러 사람들에 의해 키워졌기 때문에 낯가림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어린이 집에서 돌아온 이후에 엄마가 충분히 아이와 시간을 가지면서 사랑해주고 놀아주고 해야 아이가 엄마를 특별한 사람으로 인식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향이 그럴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엄마아빠와 떨어졌을 때에는 남을 경계하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시는 것이 필요해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직은 의사소통이 되지 않으면, 별도로 낯가림을 하게 할 수는 없을 것 같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연령이라면, 아이에게 안전한 관한 주의사항을 자주 이야기를 해주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낯을 가리지 않는다고 비정상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일부러 아이를 낯을 가리게 고치는 것도 좋지 않을 것 같구요

      그러한 위험한 부분에 대하여는 지속적으로 교육을 해주시면

      해결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상이라는 기준이 모호한 것 같습니다

      물론 낯가림을 하는 아이들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도 있기때문에

      아이가 비정상이라고 할수는 없고

      낯가림을 하도록 고치는 것보다는

      그러한 것들을 지속적으로 교육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낯가림은 꼭 모든 아이에게 있는것은 아닙니다

      그만큼 부모가 주변사람들에게 친숙함을 보이고 살가움을 보였기에 아이도

      이러한것들을 모델링하여서 나타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타고난 성격, 성향, 그리고 기질일 수 있습니다.

      제가 보았을 때, 적극적이고 활발한 것으로 보이는데 굳이 고치지 않으셔도 되지 않을까요 ?

      물론 어떤 부분에서 염려하시는 지는 잘 알겠습니다만, 오히려 좋은 성격을 가지고 있어 보입니다.

      다만, 요즘 같은 세상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데 그런 상황을 아이에게 항상 환기시켜 주시고,

      대처방법을 잘 교육해 주도록 하세요. ^^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낯가림은 나와 다른 사람을 구분하며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친숙한 대상외 다른 대상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인데요. 아이가 낯을 가리는·가리지않는 개인차가 크고, 개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낯을 안 가린다고 해서 불안해 하기보다는 '우리 애가 의사소통을 잘하네.'라고 생각해주시고 모르는 사람은 조심하라고 지속적으로 언질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