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아이에게 화가나서 큰소리로 소리를 지를 경우 아이는 어떻게받아들이나요?
6세 아이에게 답을하지 않고 무시할때 화가나서 큰소리로 꾸짖을때 부모로서 옳은행동인가요? 어떠한방법으로 아이에게 인지를 시킬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꾸짖을 때 소리를 지르면, 아이는 스스로 반성을 하기 보다는 부모에 대한 반항심만 커질 것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땐 항상 사랑이 베어있는 합리적인 훈육을 하셔야 합니다.
훈육을 길게 하기 보다는 짧고, 단호하고, 일관된 훈육을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6세 아이가 큰소리로 꾸짖히면, 그것이 아이의 자존심을 상하고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모로서는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대화와 유도가 필요합니다.
우선, 부모는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불안하거나 분노를 느끼는 경우, 아이에게 평정심을 유지하면서 대화를 시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무시를 하거나 대화를 거부할 때, 부모는 아이의 감정에 대해 이해하고, 그 감정을 받아들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할 때는, 아이의 관심사와 상황에 맞게 대화를 유도하며, 아이가 말을 마치고 이야기를 완전히 이해했는지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의 인지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큰소리로 꾸짖는 대신 적절한 대화와 유도를 통해 아이와 소통하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며 받아들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화가 나서 소리를 지른다면 아이가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당황과 공포일 수 있습니다. 화가 난다면 잠시 공간에서 벗어나 심호흡을 하면서 진정한 후에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훈육시 부모님의 감정을 들어내거나 언성을 높이게되면 훈육의 의도가 전달되기 보다는 무서움을 회피하고자 하는 것이 더 클 수 있습니다
목소리를 낮추고 단호한 태도를 취하는것이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감정적으로 아이에게 표출하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만약 이렇게 소리를 질렀다면 무서웠을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공감해주고
아이에게 차분하게 화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음에 답을 하지 않는 경우 아이의 눈높이에서
훈육이 필요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아이의 입장을 들어주시는
것을 먼저 선행하시고 아이가 답하지 않는 이유를 확인해보세요.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시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등의
행동은 그 행동에 대하여만 명확하고 단호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