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진압시 단백포라는걸 쓴다는데 이 단백포는 어떻게 거품을 낼까요?
유류화재시 소방차에서 거품을쏘더라구요. 이 거품은 수성막포, 단백포라는게 있던데.. 단백포는 동물의 사체의뼈, 물고기 뼈 등등으로 만든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걸로 거품이 나올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약간의 첨가제(포 소화약제)를 혼합한 후 여기에 공기를 주입하면 포가 발생해요 생성된 포는 유류보다 가벼운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로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질식 효과를 나타내며 함께 사용된 물에 의해 냉각 효과 내고 즉, 포 소화약제는 질식 효과와 냉각 효과에 의해 화재를 진압해요 포에는 두 가지 약제의 혼합시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핵으로 하는 화학포와 포 수용액과 공기를 교반․혼합하여 공기를 핵으로 하는 기계포가 있으며 전자는 현재 사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포라 해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단백포는 짐승의 뼈, 뿔 등의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가성소다로 분해하고 중화시켜 농축시킨 것입니다.
단백포에는 위에 말씀드린 농축시킨 것에 주로 철염같은 금속염을 소량 첨가한 것으로 침전이 잘 일어나는 대신 단백질 분자가 응집할 수 있게 합니다. 응집된 단백질 분자는 안정성 있는 거품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재 진압시에 사용되는 단백포(Protein foam)는 물과 약품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며, 거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약품은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서핑제)입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 등의 두 상(상한 공기와 물같이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을 혼합하여 거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거품은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며, 화재 영역을 덮어서 공기를 차단하고, 열과 산소를 차단하여 불꽃과 연기를 억제하고 진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화재 진압시 사용되는 단백포(Protein foam)는 물과 일정 비율의 단백질 계면활성제, 발포제, 안정제, pH 조절제 등이 혼합된 액체입니다.
이 단백포는 화재 현장에서 소화 작업을 수행하는 소방관들이 발수기나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 거품이 형성됩니다. 이 거품은 계면활성제와 발포제의 작용에 의해 물 속에서 공기를 포집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거품의 형성 과정은 계면활성제가 물 분자와 기름이나 유기화합물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액체와 기체 간 계면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이러한 작용으로 물 분자는 기름이나 유기화합물 분자와 더 쉽게 혼합되어, 거품을 형성할 때 공기와 물 분자가 더 쉽게 혼합되어 거품의 안정성을 높이게 됩니다.
따라서, 단백포는 계면활성제와 발포제 등의 성분으로 거품을 형성하여 화재 진압시에 효과적인 소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