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비급여, 일반보험 처리 등 개념 문의
보통 실비에서 급여랑 비급여 보상 퍼센트가 다른데
일반보험으로 치료시 비용의 40%만 보상받을 수 있다는데 이 비급여개념이 서로다른가요?
예를들어 4세대 비급여시 70%보상받는
여기의 비급여와 일반보험(비급여)이것의 개념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보험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급여는 건강보험공단의 지원을 받는 것이고 비급여는 그러한 지원을 받지 않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비에서 급여와 비급여는 보상방식에 차이가 있는데요. 4세대 기준으로 급여는 90% 보상을 하고 자기부담은 10%입니다. 비급여는 80%보상을 하고 자기부담은 20%입니다. 일반 국민건강보험이라면 비급여는 0%입니다. 그리고 4세대 실손에서 3대 비급여의 경우에는 70% 보상을 하기 자기 부담은 30%입니다. 그렇지만 일반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3대 비급여는 0%입니다. 실손가입이 안되고 국민건강보험만 적용받는 경우에는 비급여에 대해서는 보상이 안된다고 보면 일반보험의 비급여와 실손보험의 비급여에 대한 비교가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간호사 출신 보험전문가 이선형입니다.
실손보험에서의 급여·비급여 구분
-급여 항목:
건강보험(건보)이 적용되는 치료
본인이 일부 부담하고, 나머지는 건강보험이 보장
ex) 일반 입원비, 수술비, 혈액 검사, X-ray, CT, MRI(건강보험 적용 시) 등
-비급여 항목:
건강보험(건보)이 적용되지 않는 치료, 병원에서 가격을 세팅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하는 항목
ex) 도수치료, 비급여 MRI(특정 질환), 백내장 다초점 렌즈, 로봇 수술, 특수 주사제(ex-비급여 영양제)
실손보험(4세대 기준) 보장 비율
-급여 항목: 본인 부담금의 90% 보장
-비급여 항목: 본인 부담금의 70% 보장 (연간 한도 있음)
조금 더 자세히 얘기해보자면,
급여 항목은 90% 보장, 비급여 항목은 70% 보장되지만 연간 한도가 있음
V 비급여 이용이 많아 자주 청구하면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음 (최대 3배 할증)
V 비급여 이용이 적으면 보험료 할인 가능 (최대 5%)
V 기존 1~3세대 실비와 비교해 비급여 보장이 줄어들고, 자기부담금이 커집니다!
실손보험에서 말하는 ‘비급여’는 국민건강보험 기준이고,
일반보험에서 말하는 ‘비급여’는 보험사 약관상 보장되지 않는 항목이므로 개념이 다릅니다.
같은 ‘비급여’라는 단어라도, 어떤 보험에서 사용되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원하시는 명확한 답변이였기 바랍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보험에서 말하는 비급여와 실손보험에서의 비급여는 개념이 다릅니다. 실손보험에서의 비급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으로, 4세대 기준으로 70%를 보상하며, 일반보험에서 말하는 비급여는 보험사 약관상 보장되지 않는 항목으로, 실손보험은 보상하지 않거나 제한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으로 치료나 진료를 하게되면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급여부분이든 비급여 부분이든 모두 전액 본인이 부담해야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실손보험에서는 의로비의 40%를 보상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치료행위는 다르지 않지만 건강보험이 비적용된 의료비라면 실손의료비 약관상 40% 지급대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