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한가한듀공86
한가한듀공86

중국업체와의 수입대금 결제시 항상 선결재를 해야되는건지요?

중국업체와의 수입품 대금 결제시에 항상 선결재 30프로와 도착시 바로 나머지를 결재해달라고하는데, 이는 어느업체나 동일하더라고요. 왜 그런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해당 산업이나 국가들의 문화일 수 있겠으나, 선결제를 무조건해야한다는 것은 당사자의 주장일 뿐입니다.

    다만,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입을 하는 경우 어느정도 선결제는 감당해야 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선결제 30%, 물품 도착 시 40%, 검수 후 30%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결제를 나눠서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부분의 경우에는 중국과 무역시 반드시 통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특정업종이나 특정 물풍에 대하여는 이러한 관례가 자리잡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 경우 송금결제이기에 이러한 방식으로 수출업체 입장에서는 리스크를 헷징하고자하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중국 업체와의 수입 대금 결제 시 선결제 30%를 요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신뢰 구축과 거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행에서 비롯됩니다. 중국 업체들은 해외 거래에서 제품 제작 및 출하에 필요한 초기 비용을 충당하고, 거래 파트너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결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특히 처음 거래하는 상대방일수록 더 자주 발생하는 조건입니다.

    또한, 잔액 결제를 제품 도착 시 요구하는 이유는 물품의 품질과 정확한 수량이 확인된 이후에도 업체가 대금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받기 위함입니다. 이는 수입자와 수출자 모두에게 일정 부분의 신뢰와 위험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물품이 도착하고 검수가 끝나면 나머지 대금을 지급하도록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이런 결제 방식은 특히 소규모 업체나 중소기업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관행은 특정 업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국가의 중소규모 무역 거래에서도 자주 나타납니다. 하지만 조건은 거래 관계나 협상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거래를 통해 신뢰가 형성되면 후불 조건이나 신용장 등 더 유리한 방식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