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조편년강목은 무엇에 대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본조편년강목은 무엇에 대해 다룬 내용인가요? 본조편년강목의 저자는 누구이며 언제쯤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후기 문신 민지가 1317년(충숙왕 4) 고려왕조에 관하여 저술한 역사서.
개설
일명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 줄여서 ‘편년강목(編年綱目)’이라고도 한다. 모두 42권으로 구성되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편찬동기
편찬동기는 정가신(鄭可臣)의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을 증수하라는 충렬왕의 명으로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에 이어 저술된 것으로 보아 『세대편년절요』를 보완하기 위해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편저자
민지(초본), 이제현, 안축, 이곡, 안진, 이인복(증수본)
[네이버 지식백과] 본국편년강목 [本國編年綱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후기 문신 민지가 1317년 고려왕조에 관해 저술한 역사서입니다.
모두 42권으로 구성되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습니다.
태조의 증조부인 문덕대왕부터 고종 시기까지의 내용을 다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조편년강목 > 고려의 문관 민지가 1317년 저술한 역사서 입니다.
1346년에 누락된 부분이 많아서 부원군 이제현 등이 중수했습니다. 본국편년강목, 편년강목으로 불리며 총 42권으로 구성 되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는 사서 입니다.
이 책은 태조(고려)의 증조부인 문덕대왕 부터 고종(고려) 시기까지의 내용을 다뤘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문관 민지가 1317년 저술한 역사서 입니다.
태조(고려)의 증조부인 문덕대왕부터 고종(고려) 시기까지의 내용을 다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