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식물인간과 뇌사는 어떻게 차이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뇌출혈로 뇌사판정을 받아 장기이식을 해주고 생을 마감하신분이 있는 반면 5~10년 무의식 상태로 있다가 깨어났다는 이야기를 드라마에서 본적이 있는데 이는 식물인간과 뇌사의 차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차이가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식물인간과 뇌사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식물인간은 뇌손상으로인해 의식이 없거나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뇌간과같이 기본적인 생명유지기능은 작동하기떄문에 자가호흡이나 심장박동이 가능하고

    드물지만 깨어나서 살아움직이는 사례도 있습니다.

    반면 뇌사는 뇌의 기능자체가 완전히 멈춘 상태입니다. 그래서 뇌간도 기능을하지않아 자가 호흡이 불가능하고 외부 기계를 통해서 생명유지를 할수있습니다.

    그래서 뇌사상태는 의학적으로는 돌이킬수없는 죽음으로 간주되고 환자는 회복이 절대로 불가능합니다.

    즉, 식물인간상태는 뇌기능이 일부 남아 생명유지가 가능한반면 뇌사는 완전한 기능정지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뇌사란 뇌의 모든 기능이 영구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말해요. 즉, 뇌의 모든 부분이 더 이상 활동하지 않으며, 자발적인 호흡이나 반응이 없고, 회복이 불가능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장기 이식을 위한 기준으로, 법적으로도 사망으로 간주됩니다.

     

    식물인간 상태는 뇌의 일부 기능이 남아 있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대뇌 피질의 기능은 상실되지만 뇌간 기능은 유지됩니다. 이는 자발적인 의식이 없지만, 반사적 행동이나 생명 유지 기능은 가능합니다. 식물인간 상태에 있다가 깨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그 사례들이 드라마에서 종종 다뤄져요.

  • 말씀하신 뇌사와 식물인간은 자칫 비슷하게 들리지만 의학적으로는 매우 다른 상태입니다.

    뇌사는 뇌 전체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로 뇌간을 포함한 모든 뇌 기능이 회복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어 뇌 활동이 완전히 멈춘 상태입니다. 그래서 뇌사 상태에 빠지면 자발적인 호흡이 불가능하며, 심장이 뛰더라도 뇌가 이를 조절할 수 없어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하지만 식물인간은 뇌의 일부 특히 대뇌의 일부가 손상되어 의식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뇌간 기능은 유지되기 때문에 자발적인 호흡이 가능하지만, 고차원적인 뇌 기능인 사고, 기억, 의사소통 등은 불가능한 상황이죠. 그래서 식물인간 상태는 원인 질환에 따라 회복될 가능성이 있기도 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뇌사는 뇌 전체의 죽음으로 회복이 불가능하며, 식물인간은 뇌의 일부가 손상되어 의식이 없는 상태이지만 생명 유지 기능은 유지될 수 있는 상태입니다.

  • 식물인간은 뇌의 기본적인 기능은 살아 있지만 의식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자발적인 호흡과 일부 생명 유지 기능이 가능합니다. 반면, 뇌사는 뇌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멈춘 상태로, 자발적인 호흡조차 불가능해 인공호흡기에 의존해야 합니다. 뇌사 상태에서는 회복 가능성이 없고 법적으로 사망으로 간주됩니다. 식물인간 상태에서는 드물지만 의식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어 두 상태의 차이가 명확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뇌사는 뇌의 모든 기능이 영구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뇌의 모든 부분이 기능을 상실하고, 자발적인 호흡이나 의식이 없으며, 뇌파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뇌사 판정을 받은 경우, 법적으로 사망으로 간주되며, 장기 이식이 가능해집니다.

    반면, 식물인간 상태는 뇌의 일부 기능이 남아 있는 상태로, 의식은 없지만 자율적인 생명 유지 기능이 존재합니다. 식물인간은 반사적인 반응이나 주기적인 수면-각성 주기를 보일 수 있으며, 뇌의 일부가 살아 있어 회복 가능성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인간 상태에 있는 사람은 여전히 생명체로 간주되며, 가족이나 의료진의 결정에 따라 치료가 계속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뇌사의 경우, 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가 손상되는 것이고 식물인간은 대뇌 일부가 손상되는 무의식 상태에 빠지는 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