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자연인 되고파~~^^
자연인 되고파~~^^22.11.06

22년11월4일 미국이 0.75%금리를 인상하였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금리를 인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미국의 금리 인상의 끝은 몇%일까요?

이번 11월4일 미 연준에서 연속4차례나 Giant Step인상하여 가파르게 금리가 오라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파른 금리의 최종목표치는 과연 몇%일까요

금리인상으로 전 세계가 죽을 맛이며 특히 우리나라 대출자는 치솟는 이자에 아우성입니다.

고수님 금리인상의 최종 목표치는 얼마로 예상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11월 3일 연준의 파월의장은 FOMC회의에 따른 금리인상을 발표하면서 말한 핵심적인 단어들이 있습니다.

    금리인상완화에 대한 논의를 하기에는 이르다는 것과, UN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속도가 다른 국가에 빨라 조절을 해야한다는 것에 대한 동의를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전에 제시하였던 미국의 최종금리 수준을 상향해야 한다는 말을 함께 하였습니다.

    이에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은 내년 상반기까지 에정대로 진행될 것이나 그 목표치가 약간 상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장 이번달 11월부터 OEPC+의 원유감산으로 인해서 12월에 발표될 11월 CPI지수가 높게 나올 가능성도 일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준의 기준금리인상 속도 유지가 더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말에는 12월 14일의 FOMC를 통하여 0.75%가 상승한 4.75%가 예상되며,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가 상승하여 4월에서 5월 사이 5.25%~5.75%의 금리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항상 좋은 질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제 3.75 ~ 4%입니다. 또한, 12월 미국의 경우 빅스텝(50bp) 금리인상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단, 12월 FOMC 이후에는 금리인상의 속도조절을 예공한바 있어 최종 미국의 기준금리는 5% 전후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시장의 컨센서스 내년 상반기 까지 5% 내외까지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것입니다.

    다만 이는 인플레이션의 감소 및 고용시장의 안정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에, 2가지 요소에 따라 최종금리 및 상승시기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갑자기 고용지표가 무너지게 된다면 금리인하를 할수도 있으며, 고용지표가 튼튼한데 반면 인플레이션율(CPI 등)이 여전히 높다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다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아무리 높아도 현재로서는 6%를 초과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초 미 연준의 최고금리는 4퍼센트 중후반으로 이야기 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11월4일 0.75%를 인상하면서 목표금리가 4%에 달하고 있으며 최고금리 수준도 5%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내년 상반기 5% 초반이상이 될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초까지 물가상승이 지속된다면 5% 중후반 까지도 가능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올해 금리인상은 1회 더 남았으며 빅스텝정도로 예상을 하고 있으며 내년은 조정론에 힘입어 기준금리가 5프로때가 되지 않을까 예측해보는데 전쟁등 국제이슈변동성이 크기에 불확실성이 커보이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6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0.75%를 인상해서 4%입니다. 12월 FOMC에서 0.5%인상이 전망되므로 4.5%가 예상되지만 0.75%를 올릴 가능성도 있으므로 4.75%까지 열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