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환한슴새70
환한슴새7022.08.13

일단 당장 돈을 풀어서 경제가 살아나는것이 좋지 않나요?

돈을 너무 많이 풀어서 금리인상을 통해 유동성을 회수하겠다 라는 방향이 이해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경제가 활성화된다면 수요도 늘어나고, 고용도 창출되고 좋은것 아닌가요? 유동성이 넘쳐날 경우 나쁜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돈이 시중에 너무 많이 풀린다면 물가가 끊임없이 치솟습니다.

    물건가격이 계속 오르니 사람들은 미리 투기를 하거나 사재기를 하겠지요.

    이렇게 계속 진행이 된다면 경제가 붕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제지하기 위하여 금리인상을 하는 것이구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돈을 지속적으로 푸는 것은 사실 좋은 방향이 아닙니다.

    돈을 푼다는 것은 결국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린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유동성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만,

    엄청난 인플레현상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베네수엘라가 있으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2022586201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0년 3월 말 코로나19 판데믹 선언 이후 미국,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은 판데믹 하에서 경기를 살리기 위해 막대한 유동성을 거의 제로금리로 시중에 공급했습니다. 시장에 인위적으로 푼 유동성은 반드시 회수를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재정 정책의 일환이 금리 인상입니다. 최근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시중에 자금이 늘어나 경제에 활력을 주고 자산 가격 상승을 초래 해서 기업과 개인들의 투자 및 소비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한 국가가 관리 가능한 유동성 규모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경기는 일종의 사이클이 있어 경기가 어느 정도 살아 나면 냉각 기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다소 고통스럽겠지만 물가 제어 등을 위해서도 일정 기간 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듯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과 정부의 경제정책은 크게 질문자님꼐서 말씀하시는 경제성장과 물가 안정입니다. 단, 현재는 우리나라 기준 물가가 6%가 넘는 수준으로 경제활성화보다 물가안정이 더 중요한 경제적 이슈입니다. 따라서 주요 국가는 물가상승률을 막기위해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돈이 시중에 많이 풀리게 되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경제체계 자체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을 무시한채로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유발하여 돈이 가치 저장의 역할을 상실하고

      물물교환의 경제체계로 퇴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유동성 공급을 위해 현재는 금리 인상으로

      유동성을 회수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맞습니다. 단, 이 돈이 너무 과도하게 풀리게 되면 소위 '물가상승의 공포(i의 공포)'가 생기게 되고, 물가 안정 & 성장을 최우선 정책 목표로 삼는 중앙은행의 입장에서는 금리를 올려 어느정도 경기과열에 제동을 걸어줄 필요성이 있어서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동성이 많다는 것은 그 가치가 점점 낮아진다는것을 의미합니다.동일한 물건이 많으며 가치가 떨어지고 적거나 희소성이 있으면 가치는 더욱더 올라갑니다..1만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1만원이 아이들에게도 흔하게 있는 동전처럼 많다고 하면 그 1만원 가치는 더욱더 작아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