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가브리살제수스
가브리살제수스23.07.22

고양이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집에 고양이를 키우고 있거든요


고양이가 하악질도 안하고 아주 순해요


아이는 5살입니다.


밥도 챙겨주고 물도갈아주고 고양이 화장실도 청소해준답니다.


강아지 처럼은 아니여도 어느정도 교감은 되는데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문의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아이들의 사회성발달과 교감능력, 책임감 등을 길러주기때문에 알러지같은 문제만 없다면 매우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안에서 동물들을 키우는 아이들은 생명의 소중함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심리적으로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지요

    또한 아이의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아이의 자존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어렸을때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면 공감능력이 좋아 교감을 잘하게 되죠.

    고양이와 잘 지낸다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경우가 많아요.

    제일 걱정되는것은 위생문제인거 같아요.

    고양이는 털이 많이빠지기 때문에 아이의 호흡기나 기관지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주셔야 할꺼 같아요.

    만약에라도 고양이가 아이에게 해를 입히는지 잘 지켜봐주시구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양이를 통해서 애정을 느끼거나

    안정감을 느낄수도 있습니다.

    또한 애완동물을 챙겨주다보면 책임감도 늘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동물과 교감을 통해서

    정서발달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생명의 소중함을 알게 되기도 해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을 아이들이 키울 경우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느낄수

    있고 동물을 키울 때 정서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아이가 생명의 소중함도 배우고

    정서의 안정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과 아이들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긍정적인 영향


    ① 정서적으로 아동의 심리 발달에 도움


    미국에서는 환자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치료견(Therapy dogs)’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치료견은 일부 환아들의 통증에 대한 인지를 감소시키고, 수술 후 마취에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기도 한다. 치료견 방문 후 입원 아동들의 좌절감, 걱정, 피로, 두려움, 슬픔 등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② 발달 장애가 있는 아동의 인지 발달에 도움


    반려동물과 함께 있는 것은 미취학 아동의 집중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Reading to Dogs’은 독해력과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아지에게 책을 읽어주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해당 프로그램은 난독증이 있는 아이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와 함께 함으로써 자신감이 더해지고 불안과 스트레스가 감소할 뿐 아니라, 개는 아무런 편견없이 아이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준다. 아이가 강아지에게 책을 읽어준다고 생각해 책읽기에 더 열심히 참여하게 되며 이는 곧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가 생성되는 것이다.


    자폐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보조하기 위해 훈련된 ‘자폐아 도우미견(Autism dog)’은 아이의 우발적인 자해로부터 보호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아이가 길을 잃고 헤매거나 침대를 벗어나 집을 나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부모에게 알려 주기도 하며 가족 기능을 개선하고 자폐 아동의 불안감을 줄여주기도 한다.



    ③ 애착 관계를 통한 사회 정서적 발달


    반려동물과 애착이 잘 형성된 아이들은 공감 능력과 친사회적 성향이 높게 나타나기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흥미롭게도 반려동물과 지내는 청소년들은 형제자매와의 관계보다 반려동물과의 관계에서 더 큰 만족감을 느끼며 갈등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은 아이에게 위안, 안정감, 신뢰를 줄 수 있으며 학령기 이후의 아이들은 반려동물을 돌보는 역할을 통해 책임감 또한 배울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양이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털 알러지가 있거나, 너무 어린 신생아가 있으면 고양이는 같이 있으면 안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을 아이가 자라고 성장하는데

    함께 정서적교감을 합니다

    당연히 강아지가 아니더라도 말이지요

    도움이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