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정산 관련 질문 드립니다.
13월의 월급이 어느순간부터 13월의 세금으로 바뀌어 버렸네요.
부모님께서 월세 수입이 있으신데 인적 공제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하여 인적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만 60세 이상이고, 소득금액이 연 1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금액은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제한 금액을 의미하기 때문에 월세수입에서 필요경비를 제한 금액이 100만원 이하이면 공제 가능합니다.
또한, 주택임대소득이 연 2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분리과세 선택이 가능하고, 분리과세 선택 시 소득금액은 없는 것으로 보아 인적공제 가능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부모님이 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부양가족으로 넣으실 순 있을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소득이신지 상가인지 주택임대인지 등 다시 질문을 올려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부모님 각자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연간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 요건을 충족하지 않기에 본인의 인적공제 대상은 아닙니다.
다만 소득세법상 비과세 주택임대소득인 경우에는 인적공제 대상이 될 여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자녀가 근로자로서 당해 과세기간의 근로소득 총급여액에 대하여 근로소득
연말정산시에 공제요건 충족한 부양가족인 부모님에 대한 소득공제, 세액공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부모님에 대한 인적공제 요건은 1)부모님의 연령이 만 60세 이상이어야
하고, 2)부모님 각각의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자녀의 근로소득
연말정산시에 소득공제, 세액공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재 세무사입니다.
월세 세액 공제의 경우는 해당 근로자가 임차인으로 계약을 한 사안에 대해서 가능한 점에서 해당 사안은 어려울 수 있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성진 세무사입니다.
부모님 나이가 60세이상이고 임대수입에서 필요경비를 공제한 소득금액이 연간 100만원 이하인경우
인적공제가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부모님께서 만 60세 이상 +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일 경우에만 인적공제가 가능한 것입니다. 참고로 연금계좌세액공제, 주택청약불입, 체크카드 및 현금영수증 위주 지출, 기부금 공제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