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입문해보고 싶은데요 너무 어렵네요..
인문학에 입문하기 위해 읽어야할 책 순서 같은게 있을까요??
너무 마구잡이로 읽는 것보니 뭔소리인지 잘 모르겟는데.. 책 읽는 순서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문학이라는게 참 어렵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입문해야 할지 다소 애매한 기준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 인문학에 관한 서적을 찾으려면 가장 기본적인 것, 쉽게 설명되어있는것, 본인 기준으로 나의 수준에 맞는 적합한 책을 먼저 골라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읽어야할 책순서가 따로 ? 있을진 모르겠네요
쉬운 책부터 읽어보세요~
-착한 소비는 없다
최원형 (지은이) | 자연과생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은이), 유영미 (옮긴이), 주경복, 우석훈 | 갈라파고스
-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 - 소크라테스부터 한나 아렌트까지
최진기,서선연 (지은이)스마트북스
추천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라고 합니다
사실 미술 역사와 관련된 책을 주로 읽긴하고 미술과 관련된 책읽기에 대한 질문은 많이 들어
답변을 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인문학 이라 하면 아시다시피 범위가 너무 넓습니다.
포괄하고 있는 개념 및 장르가 어마어마 하죠
그래서 전 인문학 입문, 인문학적 접근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주제'를 먼저 정하라고 답변을 드립니다.
관심을 갖고 있는 모든 분야가 인문학과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영화, 음악 모두 인문학과 땔래야 땔수 없는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자기의 관심으로 부터 인문학과의 관계를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인문학을 입문하는 것과 다름이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인문학을 뭔가 따로 동떨어진 어떤것 이란 의미로 너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특별한 어떤것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데
그런 과정자체가 오히려 접근을 어렵게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결론을 내면 관심사를 찾고 그와 인문학과의 관계를 찾아면서 관련된 공부, 책읽기 등을 하면
자연스레 인문학에 대한 식견이 넓어지실 겁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일 수 있기 때문에 끈기를 가지고 책읽기와 관심가지기를 실천하시면
원하시는 바를 가랑비에 옷 젖듯이 획득하실수 있으실 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