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4

지구가 점점 더 뜨거워지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자꾸 뜨거워지면서 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각종 재난이 일어나고 있는데 지구가 자꾸 뜨거워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테나
    아테나23.04.24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제는 온실가스가 늘어나는 인구수와 산업화로 인해 점점 대기 중에 많아지면서 걱정스러울 정도로 지구가 따듯해지는 것


    그중에서도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아주 심각해요. 초기 이산화탄소의 양이 지금의 1000배 정도였던 지구는 광합성과 바다에 조금씩 녹아들어가고 산호나 조개류들의 등장으로 오랜 세월동안 그 양이 서서히 줄어들어 지금의 지구가 되었죠. 그런데 그 양이 다시 조금씩 늘어나게 된 데에는 산업화에 다른 기름과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부터에요.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증가하면 지표에 흡수되었다가 다시 방출되는 빛 에너지 중에서 더 많은 양이 대기 중에 흡수되어 온실효과가 지나치게 일어나 지구는 더워질 수밖에 없는 거지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점점 더 뜨거워지는 이유는 지구의 기후가 변화하는 현상인 지구온난화 때문입니다. 지구온난화는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등이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기후 변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늘도 한낮의 더위는 꺾이지 않고 평년 기온보다 더 높겠습니다."

    요즈음 자주 듣는 말이야. 사실 두려운 말인데 너무 자주 들어서 어떤 때는 그냥 무덤덤하기 조차하지.

    온실가스 지구를 따듯하게

    무엇이 지구를 따듯하게 하는 걸까?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금성으로 달려가 볼까? 밤하늘에 달 다음으로 가장 밝고 아름다운 별이 금성이야. 사랑의 여신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는 별이지. 그런데 과학자들이 보는 금성은 그렇게 낭만적이지가 않아. 오히려 지옥 같다고 해. 지구의 연평균기온이 15℃인데 금성의 연평균기온은 450℃이고, 땅은 풀 한포기 없는 사막 같고, 대기는 지구가 1기압인데 금성은 90기압이고 지구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은 0.03%인데 금성은 황산구름과 이산화탄소가 약 96%를 차지하고 있지.

    초기 지구도 금성과 비슷했다고 해. 그러면 어떻게 지금 처럼 되었을까?

    태양에서 방출된 빛에너지는 지구의 대기층을 통과 하면서 일부분은 반사되지만 지구 대기에 직접 흡수되지. 그래서 약 50%정도의 햇빛만이 지표에 도달하게 돼. 지표에 흡수된 빛에너지는 열에너지나 적외선으로 다시 방출되게 되는데 반 정도는 대기를 빠져나가지만 반 정도는 온실가스에 흡수되었다가 서서히 다시 지표로 되돌아오지. 적당한 량의 온실가스만 있다면, 이와 같은 작용이 되풀이 되면서 지구가 따듯해지는 거야. 이것을 온실효과라고 해.

    1

    • 온실가스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메탄, 일산화이질소등의 가스. 이들의 양이 많아지면 온실효과가 커진다.

    점점 더워지는 지구

    문제는 이들 온실가스가 늘어나는 인구수와 산업화로 인해 점점 대기 중에 많아지면서 걱정스러울 정도로 지구가 따듯해지는 거야.

    그중에서도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아주 심각해. 초기 이산화탄소의 양이 지금의 1000배 정도였던 지구는 광합성과 바다에 조금씩 녹아들어가고 산호나 조개류들의 등장으로 오랜 세월동안 그 양이 서서히 줄어들어 지금의 지구가 되었어. 그런데 그 양이 다시 조금씩 늘어나게 된 데에는 산업화에 다른 기름과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부터야.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증가하면 지표에 흡수되었다가 다시 방출되는 빛 에너지 중에서 더 많은 양이 대기 중에 흡수되어 온실효과가 지나치게 일어나 지구는 더워질 수밖에 없는 거지.

    아프다. 아파

    지구 온난화로 지구가 게속 더 워진다면 지구는 많이 아플 거 야. 가장 먼저는 기후 변화가 일 어나겠지. 우리도 몸이 아프면 정상적인 활동을 못하는 것처럼 지구도 그러겠지. 강수량과 수분 증발량이 변하여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산림이 줄어들며, 사막화가 진행될 거야. 또 북극, 남극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낮은 지대의 육지는 물에 잠길거야. 빙산이 녹을 때 주변 바다의 온도가 낮아져 해양 생태계에 큰 혼란이 일어 날 거야.

    먹을 것도 줄어들어. 왜냐하면 곡물을 재배할 수 없을 정도로 토양 수분이 낮아져 곡물 생산량이 감소될 것이니까. 유럽서부, 미국 남부, 호주 서부, 남부 아프리카 지역 대부분에서 곡물 생산이 감소되어서, 온난화는 세계 곡물 생산량에 막대한 변화를 가져다 줄 거야.

    기상이변이나 곡물 생산량의 감소 뿐 아니라 생태계에도 문제가 생겨. 그 예로 미국 하버드 의대의 폴립스타인 교수는

    '기온이 섭씨 2도 올라가면 말라리아 모기의 신진대사도 두 배 이상 늘어 동물에 대한 공격도 그만큼 잦아진다'고 지적하기도 하고, 지금과 같은 지구온난화 추세로 라면 이 모기의 활동면적이 지구표면의 42%에서 60%로 넓어질 것이라고 했어. 끔찍하지. 다 에너지를 분별없이 사용한 대가야.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키는 프레온가스의 사용 및 계속된 개발로 인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춰주는 숲의 면적 감소 등 복합적인 관계로 인하여 기존에 지구의 순환을 지키지 못하여 지구는 점차 온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는 이유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요인은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가스는 온실효과를 유발하여 지구를 점점 더 더운 행성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지구 바로 옆의 행성인 금성은 대기중에 이산화탄소가 아주 많은데 이것이 금성을 매우 뜨거운 행성으로 만드는 이유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원인은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 때문입니다.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된 이산화 탄소같은 온실가스로 지구의 온도가 상승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아 발생되는 자연재해입니다.

    ->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가 주원인.


    관련,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운동이 일어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