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금동보안관
금동보안관23.07.24

미국과 우리나라등 각 나라의 금리 결정은 어떻게 합니까

미국의 연준이나 우리나라의 한국은행등 각 나라에서의 금리 결정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고 어쩔때 올리고 내리는지 자세한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정해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되도록 하는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경기가 너무 과열되면 금리를 올리고 경기가 침체되면 금리를 내려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한은과 연준은 물가를 잡아야하는 제 1의 목적이 있기 때문에 금리를 결정할 때 물가지수를 가장 큰 지표로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를 상승시켜서 과열을 억제하고 물가가 낮고 경제가 침체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금리를

      내려서 경제를 활성화 시키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나라의 금리와 같은 경우에는

    경제성장률, 물가 등 여러가지 경제요소를 고려하여

    금리를 결정하게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플레이션 수준: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을 의미하며,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인플레이션 수준을 주시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경제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금리를 조절합니다.

    2) 경제 성장률: 중앙은행은 경제 성장률을 모니터링하며, 성장이 둔화되거나 불안정한 경우 금리를 낮추어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과도한 성장이 발생할 경우 금리를 높여 인플레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조치를 취합니다.

    3) 환율: 환율은 국가의 통화 가치를 다른 통화와 비교한 것을 말합니다. 중앙은행은 환율 변동을 모니터링하며, 원활한 무역과 경제 안정을 위해 금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4) 신용 대출 및 소비: 중앙은행은 신용 대출과 소비 등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를 조절하여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 고용 수준: 고용 수준이 높을 경우 소비가 증가하여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이를 고려하여 금리 정책을 조율할 수 있습니다.

    6) 정치적 요인: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은 경우 정치적 요인이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치적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각국 중앙은행에서 하구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2가지 요인은 물가와 성장율입니다 이 두가지를 고려하여 금리 인상 또는 금리 인하를 합니당!~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연방준비위원회에서, 한국은 한국은행에서 다양한 경제지표와 상황, 그리고 미래 예측을 근거로 하여 금리를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결정의 경우 현 나라의 경제상황과 정책적 목표에 따라 기준금리가 결정됨니다. 최근 금리인상은 향후 금리침체의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안정이라는 경제적 정책적 목표로 인해 지속적으로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우리나라는 금리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와 통계자료를 참고합니다.

    다만 가장 중요한 것을 꼽자면 소비자물가지수이며

    소비자물가지수가 비이상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금리를 올리게 됩니다.

    금리를 내리는 경우는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어 경제가 비이상적으로 돌아가지 않을 때가 주로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