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백신 아스트라제네카를 유럽에서는 접종중단하는데 왜 한국은 계속 맞을까요?

2021. 03. 29. 19:56

혈액응고 혈전이 생겨서 부작용이 분명히 나타난 시점인데도 불구하고 맞는다는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나중에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정부에서는 어떻게 대처 할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최근의 백신 관련 보도로 질문자님을 포함해 많은 분들이 우려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유럽 의약품청 (EMA)의 약물감시 위원회 (PRAC)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혈액 응고 (혈전색전)의 전반적인 위험증가와 관련이 없으며, 백신의 생산이나 특정 제조시설과 관련 문제가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밝혔으며

코로나19가 만연한 상황에서는 백신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코로나19 자체가 응고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혈전 생성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보고된 사례가 예상치를 상회하므로 접종 후 3일 이후 혈전색전증의 증상, 특히 혈소판감소나 뇌혈전의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즉시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였습니다.

관련 증상으로는 쉽게 멍이 들거나, 출혈이 발생하고 지속적이거나 심한 두통이 있는 경우입니다.

이외에도 숨참, 가슴이나 복부 통증, 팔다리 부종 등이 관련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발표 내용을 토대로 볼때 혈전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관련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백신 접종으로 인해 얻는 이익이 훨씬 크므로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

현재까지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항체를 획득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하면 간헐적인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처럼 대유행하는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WHO에서 권고하는 코로나19 백신 임상 유효성 기준은 50% 이상으로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의 결과는 모두 이를 상회합니다.

최근 영국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또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2만명 이상을 대상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연구에 따르면

백신 1회 접종 21일 후 감염에 대한 백신 효과는 최소 70%였으며, 2회 접종 7일 후에는 효과가 85%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8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1차 접종 28일 후 백신 효과는 57%였고, 백신의 보호 효과는 2차 접종 7일 후 88%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예비분석 결과로 각 접종별 예방효과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임상 경험상 고열과 근육통을 많이 호소하며, 증상은 대부분 3일 이내에 호전이 됩니다.

증상 발생시 해열제 (타이레놀)을 복용하시고, 복용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내원하시어 추가적인 진찰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아주 드물긴 하지만 (100만건당 1회 이하로 알려짐) 접종 후 호흡곤란, 목 및 입술 부종, 의식저하 등의 반응이 있을 경우 즉시 내원하셔야 하며 20~30분 동안은 접종하신 의료기관에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하시고 귀가하세요.

접종 후 3일간은 이상반응이 생길 수 있어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를 권해드립니다.

항체생성에 제한을 줄 수 있어 접종 전후 2주간은 다른 예방접종은 피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감사합니다.

2021. 03. 30. 08:2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치과병원 / 통합치의학전문의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혈전 응고 이슈로 유럽에서 중단 했으나 유럽연합에서 다시 다시 혈전응고가 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이후에 나타났다고 볼 수 없어 다시 접종 중에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유럽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이후에 심한 후유증이 나타난다면 인과관계를 따져 정부에서 보상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2021. 03. 31. 15:4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관련하여 혈전 문제가 붉어졌고 유럽에서는 잠시 중단 후 관련성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유럽 의약품청에 따르면 백신과 관련이 적고, 백신 접종으로 얻는 이득이 많다고 결론 지어서 다시 접종은 재개된 상태입니다. 이제 마음 편히 맞으실 수 있으시겠지요?

      서민석 드림

      2021. 03. 29. 20:10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