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비범한앵무새123
비범한앵무새12324.01.01

얼음색?이 다른건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얼음이 얼게되면 어떤건 투명하게 얼고 어떤 얼음은 불투명하게 어는 경우가 있는데요. 왜 2가지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내부의 분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분자의 움직임이 느린 상태에서 얼게 되면 불투명한 색을 띠게 되며, 분자의 움직임이 활발한 상태에서 얼게 되면 투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투명하게 얼거나 불투명하게 얼거나 하는 차이는 얼리는 과정의 온도와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투명한 얼음은 물을 끓여서 식힌 후 천천히 얼리면 만들어집니다. 끓인 물은 기포가 제거되어 깨끗한 상태이기 때문에, 얼리는 과정에서 기포가 생기지 않아 투명하게 얼게 됩니다. 또한, 천천히 얼리면 얼음 결정이 크게 자라지 않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져 투명하게 보입니다.

    불투명한 얼음은 실온의 물을 얼리거나, 끓인 물을 급격하게 얼리면 만들어집니다. 실온의 물에는 기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얼리는 과정에서 기포가 생기게 됩니다. 기포는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불투명하게 보이게 됩니다. 또한, 급격하게 얼리면 얼음 결정이 작게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져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따라서, 얼음이 투명하게 얼거나 불투명하게 얼거나 하는 차이는 얼리는 과정의 온도와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한 얼음은 일반적으로 깨끗하고 순수한 물로부터 형성됩니다. 얼음 결정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빛이 얼음 내부를 통과할 때 굴절이 거의 없어 투명하게 보입니다.

    반면에 불투명한 얼음은 공기, 물 속의 불순물, 기포, 물결 등이 얼음에 혼합되면서 형성됩니다. 이런 불순물이 얼음 내부에 존재하면 빛이 산란되고 굴절되어 투명하지 않은 외관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얼게되면 투명하게 얼거나 불투명하게 얼게 되는 이유는 얼음의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얼음은 물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에 따라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지는 것이죠.

    투명하게 얼은 얼음은 결정 구조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빛이 잘 통과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불투명하게 얼은 얼음은 결정 구조가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빛이 흩어지고 반사되어 투명하지 않은 모습을 보입니다.

    얼음의 색깔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빛이 얼음에 닿으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흡수되어 색깔이 나타나게 됩니다. 투명한 얼음은 빛을 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색깔이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불투명한 얼음은 빛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색깔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얼음의 색깔은 얼음이 형성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눈이나 빙하에서 형성된 얼음은 빛을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이지만 강물에서 형성된 얼음은 물에 녹은 물분자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푸른 색을 띠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얼음이 얼게되면 투명하게 얼거나 불투명하게 얼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어는방법 때문에 색이 다릅니다. 집에있는 냉장고 냉동실에서는 얼음이 위에부터 얼기 때문에 물안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불투명하게 보이고 투명한 얼음은 얼음틀에서 밑에부터 얼려가기 때문에 물속 공기가 위로 빠져나가며 투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투명하게 어는 경우와 불투명하게 어는 경우의 차이는 주로 얼음이 얼 때 포함된 공기의 양과 얼음의 결정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

    1. 공기의 포함 여부:

    - 투명한 얼음: 투명한 얼음은 일반적으로 매우 천천히 얼거나 매우 순수한 물에서 형성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물 속에 공기가 거의 포함되지 않아서 빛이 얼음을 통과할 때 산란되지 않습니다.

    - 불투명한 얼음: 불투명한 얼음은 빨리 얼거나 공기가 포함된 물에서 형성됩니다. 빠르게 얼 때는 물 속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작은 기포 형태로 얼음 속에 갇힙니다. 이 기포들이 빛을 산란시켜 얼음을 불투명하게 만듭니다.

    2. 얼음의 결정 구조:

    - 균일한 결정 구조: 얼음이 천천히 얼면, 균일하고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런 구조는 빛의 산란을 최소화하여 얼음을 투명하게 만듭니다.

    - 불규칙한 결정 구조: 빠르게 얼거나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서는 불규칙한 결정 구조가 형성됩니다. 이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되게 하여 얼음을 불투명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이유로, 집에서 얼음을 만들 때는 냉동고의 빠른 냉각 과정과 물에 포함된 미세한 공기로 인해 대부분 불투명한 얼음이 형성됩니다. 반면, 천천히 얼리거나 정제된 물을 사용하면 투명한 얼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의 불순물 때문에 얼었을때 불투명하게 되는거죠. 실제 투명한 물은 얼면 투명해지는게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