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그래디언트 치킨팝
그래디언트 치킨팝24.02.29

투명한 얼음과 불투명한 얼음으로 나뉘어지는 이유는 어떤 것 때문인가요?

얼음을 보면 어떤 것은 투명한 얼음이고 또 어떤 것은 불투명한 얼음이더라고요.

어떤 것이 더 차갑거나 하는 차이도 없는데 왜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으로 나뉘어지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냉각될 당시 물의 온도에 따라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집니다. 보통 뜨거운 온도의 물을 얼릴 경우 투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한것과 불투명한것은 물에 들어 있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정해진다고 합니다. 아무것도 없을때 투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물이 얼어서 만들어지는데 이때 물 분자들이 얼어서 얼음 분자로 변하면서 공간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이 빈 공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빛이 잘 통과하여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빈 공간이 적으면 빛이 잘 흡수되어 불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얼음은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얼음이 투명한지 불투명한지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눈이 내리는 날씨에서는 눈송이가 얼어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빈 공간이 많아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지지만 강에서 얼어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물 분자들이 밀집되어 빈 공간이 적어 불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얼음은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으로 나뉘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임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한 얼음과 불투명한 얼음은 형성 과정에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차이는 주로 얼음이 얼어붙는 속도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1. 투명한 얼음:

      • 투명한 얼음은 느리게 얼었을 때 형성됩니다. 느린 동결 과정은 물 분자가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며, 이로 인해 빛이 얼음을 통과할 수 있게 됩니다.

      • 또한, 느리게 얼 때는 물 속의 공기와 불순물이 얼음 결정 구조 밖으로 밀려나거나 얼음이 형성되는 동안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더 투명한 얼음을 만듭니다.

      • 매우 깨끗한 물로 만들어진 얼음은 더욱 투명하게 될 수 있습니다.

    2. 불투명한 얼음:

      • 불투명한 얼음은 빠르게 얼었을 때 형성됩니다. 빠른 동결은 물 분자가 불규칙하게 배열되게 하며, 이로 인해 빛이 얼음을 통과하는 대신 산란되어 얼음이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 또한, 빠르게 얼 때는 물 속에 있는 공기가 작은 기포 형태로 얼음 내에 갇히게 됩니다. 이 공기 기포들이 빛을 산란시켜 얼음이 흰색으로 보이게 만듭니다.

      • 물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 불순물들도 빛의 산란을 유발하여 얼음을 불투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얼음의 투명성은 얼음이 얼어붙는 속도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천천히 얼고 불순물이 적은 물에서 형성된 얼음은 투명할 가능성이 높으며, 빠르게 얼거나 불순물이 많은 물에서 형성된 얼음은 불투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것은 주로 결정 구조와 포함된 공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투명한 얼음은 결정 구조가 규칙적이고 공기가 적은 경우에 발생하며, 빛이 잘 통과하여 투명하게 보입니다. 반면에 불투명한 얼음은 결정 구조가 불규칙하거나 공기이 많은 경우에 발생하며, 빛이 잘 흡수되어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냉동실에서 물을 얼리면 얼음을 얻을 수 있어요. 이렇게 만들어진 얼음 속에는 기포가 있어 불투명하게 보여요. 유리처럼 맑고 투명한 얼음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투명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 속에 녹아있는 공기를 제거하면 돼요.

    온도가 높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감소하므로 물을 끓인 후 얼리면 빈 공간 없는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답니다. 끓인 물 속에는 공기가 덜 녹아있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을 얼리는 방법에 따라 투명하기도 하고 불투명하기도 하는데요

    얼음이 상층부 부터 얼면은 물속의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불투명하게 되고

    밑면부터 얼면 물속 공기가 빠져나가 투명한 색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한 얼음과 불투명한 얼음으로 나뉘는 이유는 얼음 속에 포함된 기포의 양 때문입니다.


    얼음물 속에 용해된 기체가 얼음 밖으로



    천천히


    빠져나가면서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집니다.


    물을 밑에서부터 천천히 얼리거나


    움직이는 물을 얼리는 경우에도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집니다.


    이 경우에도 기포가 얼음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 속에 용해된 기체가


    빠져나갈 시간이 없어 얼음 속에 갇히면서


    불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집니다.



    기포가 얼음 속에


    갇히면서 불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집니다.


    흰색 또는 흐릿한 색을 띠고 있습니다.


    투명한 얼음보다 덜 단단하고 쉽게 부서집니다.


    표면적이 넓어서 더 빨리 녹습니다.


    맑고 투명한 색을 띠고 있습니다.



    불투명한 얼음보다 단단하고 덜 부서집니다.



    표면적이 좁아서 더 천천히 녹습니다.



    결론적으로, 얼음을 얼리는 속도와 방식에 따라


    투명한 얼음과 불투명한 얼음으로 나뉘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 속에 공기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투명한 얼음은 공기가 거의 없이 순수한 물로 만들어져 빛을 잘 투과하는 반면, 불투명한 얼음은 물 속에 공기가 갇혀 있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흐릿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만들어진 물에 포함된 공기의 정도에 따라 투명도가 결정됩니다.

    즉, 공기가 많이 포함된 얼음은 불투명하고, 공기가 적은 얼음은 투명합니다.

    보통 외부에서부터 얼어가는 얼음은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불투명합니다. 하지만 내부에서 얼리는 얼음은 물에 포함된 공기가 빠져나가며 얼기 때문에 투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냉장고 얼음틀에 얼린 얼음이 불투명하고 하얗게 보이는 것을 눈치채셨나요? 이러한 차이는 물이 얼 때 발생합니다. 그럼 투명한 얼음과 불투명한 얼음이 생기는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투명한 얼음은 물 속에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작은 기포가 있습니다. 이 기포들은 물의 온도가 낮아져 얼음이 되면 물 밖으로 빠져 나갑니다. 물이 천천히 얼면 기포들이 밖으로 서서히 빠져 나오면서 투명한 얼음이 형성됩니다. 추운 겨울에 바깥에서 서서히 언 얼음은 투명하게 보입니다.

    불투명한 얼음은 물이 갑자기 얼면 공기는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합니다. 얼음 속에 갇힌 기포는 빠져 나오려고 이리저리 움직이다가 다른 기포와 합쳐져 방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울들은 빛이 통과하지 못해 뿌옇게 보이는 불투명한 얼음이 형성됩니다.

    냉동실에서 갑자기 얼린 얼음일수록 뿌옇고 불투명한 얼음이 많습니다. 따라서 냉장고 얼음틀에 투명한 얼음을 만들고 싶다면 물을 끓여서 물속의 기포를 제거한 뒤에 얼리는 방법이 좋습니다. 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다시 끓여서 얼리면 투명한 얼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천천히 얼리는 것이 기포를 빠져나가게 하여 투명한 얼음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