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가 정확히 어떻게 나온가요
TV 살려고 할때 oled디스플레이 말을 들은것같은데
oled가 먼가요 앞으로 디스플레이는 어디까지 발전할까요 우리나라가 주도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유기 화합물로 만들어진 특수한 발광 소자입니다. 이 소자는 전기가 흐르면서 빛을 방출합니다. OLED는 화면에 필요한 각 픽셀이 자체적으로 빛을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경조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OLED 기술은 기존의 LCD(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해 높은 명암비, 빠른 응답 시간, 얇은 디자인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주로 유연한 디스플레이와 고해상도 TV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OLED 기술은 유기 화합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서부터 대형 TV까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기존 LED와 다르게 유기물질(탄소)를 이용해 자체 발광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다이오드입니다. Organic은 주로 “탄소를 포함한 화합물”을 가르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장점으로는 완전한 고체상태의 소자입니다. 자체및 방출형 소자로 휘도와 효율이 높고 대조비 우수, 시야각 넓으며, 후면 빛 불필요, 동작속도가 매우 빠르고 동작전압을 낮게 구동하여 저소비 전력화 가능합니다. (R,G,B를 각각 만들면 전력효율이 좋다)
컬러필터가 없기 때문에 빛 거의100%투과, 색 표현 우수하며 제조 공정면에서 볼 때 공정온도가 낮아 플라스틱 등 유연성 있는 기판 사용가능하며 대면적 공정 가능합니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탄소물질이라 가볍고, 디스플레이를 얇게 제작 가능합니다.
단점은 사이즈 커질수록 필요 전류량 증가합니다. RGB를 각각 만들기 어렵습니다. 수명이 비교적 짧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