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보통은기발한당나귀
보통은기발한당나귀

구름 없이 맑은 하늘은 왜 하늘색인가요?

구름이 없고 해가 쨍쨍할 때 하늘을 보면 하늘색..

전세계 어디서 봐도 구름 없는 하늘은 하늘색..

혹시 극지방에선 하늘색이 아닌가요?

하늘이 어떻게 하늘색이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하늘이 ㅡ색이 하늘색으로 보이는건 빛이 지구로 들어오며 지구의 대기를 만나며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색깔의 빛이 합쳐져 이루어진 백색광이며 이 빛은 사실 여러 파장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빨간색에서 보라색까지 다양한 색이 포함하게 되지용 각 색깔은 파장이 다릅니다. 빨간색은 긴 파장을 가지고 있고, 파란색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 대기에는 질소와 산소 같은 작은 분자들이 존재하고 태양빛이 대기에 도달하면, 이 빛은 대기 중의 분자들에 의해 산란됩니다. 짧은 파장을 가진 파란색 빛은 긴 파장을 가진 빨간색 빛보다 더 많이 산란되는데 우린 이를 가지고 레일리 산란이라고 부릅니다~ 파란색 빛이 대기 중에서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우리가 하늘을 볼 때 모든 방향에서 산란된 파란색 빛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구름 없는 맑은 날에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태양이 낮게 위치할 때, 빛은 더 두꺼운 대기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짧은 파장의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 그 결과, 더 긴 파장을 가진 빨간색과 오렌지색이 남아 하늘이 붉게 보이게 되며 고지대에서는 대기의 밀도가 낮아 파란색이 덜 산란될 수 있지만, 여전히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우주에서는 대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하늘이 검게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빛을 이루는 여러 색깔들이 대기권에서 산란되면서, 파란색이 가장 잘 산란되게 되고 우리눈에는 파랗게 보인다고 합니다.

    1명 평가